중국, ‘고소득국’ 진입 실패…작년 1인당 GNI, 0.9% 증가 그쳐

입력 2023-03-01 19: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만2608달러로 세계은행 기준 미달
‘제로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경기정체 영향
위안화 약세도 GNI 증가세 정체로 이어져
가계는 고용 감소 압박…실업보험 수급자 38만 명 늘어

▲중국 1인당 국민총소득(GNI) 추이. 단위 만 달러. 작년 1만2608달러. 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
▲중국 1인당 국민총소득(GNI) 추이. 단위 만 달러. 작년 1만2608달러. 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
중국이 지난해 ‘고소득국’ 진입에 실패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달 28일 발표한 1인당 명목 국민총소득(GNI)이 1만2608달러(약 1671만 원)로 세계은행(WB)이 정한 고소득 국가 기준(1만3205달러 초과)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GNI는 1년간 개인이나 기업이 국내외에서 얻은 소득 총액을 뜻한다. 국내에서 발생한 부가가치 총액을 나타내는 국내총생산(GDP)에 해외와 교환한 이자, 배당의 순수취액을 더해 산출한다.

세계은행은 1인당 GNI를 바탕으로 고소득국과 상위 중소득국, 하위 중소득국, 저소득국 등 4가지로 분류하며 매년 7월 기준을 검토한다. 현재 고소득국 기준은 이전의 1만2695달러 초과에서 4% 증가한 값이다.

중국의 1인당 GNI는 2021년에 전년 대비 20% 이상 늘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억제하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일단 경제를 정상화시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는 ‘제로 코로나’의 장기화로 인한 경기정체로 GNI 성장세도 주춤했으며 중국 위안화 가치가 약세를 보인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위안화를 기준으로 한 GNI 증가율은 지난해 전년보다 5.1% 증가했다. 다만 이것도 2021년의 13.3%에서 축소된 것이다.

지난해 위안·달러 평균 환율은 6.7621위안으로 미국 달러당 위안화 가치가 전년 평균보다 4% 하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을 서두르면서 중국 경기에 대한 불안도 커져 해외의 대중국 채권 투자도 줄었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가계는 고용 감소 압박을 받았다. 지난해 말 시점에 실업보험 수급자는 297만 명으로 전년 말 대비 38만 명 증가했다. 이는 2012년 이후 가장 많은 것이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현재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는 등 경제 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기회복과 위안화 환율 안정으로 올해 고소득국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커지는 빈부격차 확대가 중국 정부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가계의 1인당 가처분소득을 살펴보면 지난해 상위 20% 평균이 하위 20%의 10.5배에 달해 2020년 10.2배로 바닥을 치고 나서 다시 격차가 벌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통비 또 오른다?…빠듯한 주머니 채울 절약 팁 정리 [경제한줌]
  • 기본으로 돌아간 삼성전자…'기술-품질' 초격차 영광 찾는다
  • "비트코인 살 걸, 운동할 걸"…올해 가장 많이 한 후회는 [데이터클립]
  • 베일 벗은 선도지구에 주민 희비 갈렸다…추가 분담금·낮은 용적률이 ‘복병’[1기 선도지구]
  • [2024마켓리더대상] 위기 속 ‘투자 나침반’ 역할…다양한 부의 증식 기회 제공
  • 어도어ㆍ빅히트, 쇄신 바람 불까…위기 속 등장한 '신임 대표'들 [이슈크래커]
  • “117년 만에 폭설도 못 막지”…올림픽파크포레온 1.2만 가구 입주장 개막에 '후끈' [르포]
  • 목소리 높이는 소액주주…상법개정안 가속 페달 달까
  • 오늘의 상승종목

  • 11.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1,631,000
    • +1.25%
    • 이더리움
    • 4,898,000
    • +5.08%
    • 비트코인 캐시
    • 716,000
    • +4.99%
    • 리플
    • 2,009
    • +5.74%
    • 솔라나
    • 331,800
    • +3.01%
    • 에이다
    • 1,395
    • +8.73%
    • 이오스
    • 1,124
    • +2.93%
    • 트론
    • 280
    • +5.26%
    • 스텔라루멘
    • 692
    • +9.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200
    • +3.46%
    • 체인링크
    • 25,140
    • +4.84%
    • 샌드박스
    • 859
    • -1.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