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 6974억 규모 남해-여수 해저터널 사업 수주…“설계 차별화 통했다”

입력 2023-05-22 09: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AI기반 노선 최적화 기술 적용…공사비 7000억 원 규모

▲남해-여수 해저터널 위치도. (자료제공=DL이앤씨)
▲남해-여수 해저터널 위치도. (자료제공=DL이앤씨)

DL이앤씨가 해저 분기터널이라는 설계 차별화 전략으로 ‘남해 서면-여수 신덕 국도건설공사’(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사업)를 수주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전남 여수 신덕동과 경남 남해 서면을 연결하는 총 8.09㎞의 4차로 국도를 신설하는 프로젝트다. 총 사업비는 6974억 원으로 해저 분기터널 구간(5.76㎞)을 포함하고 있다. 오는 2031년 준공 시 남해-여수 간 이동시간이 기존 1시간 30분에서 10분으로 대폭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DL이앤씨는 입찰 참여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터널 본선 외에 남해군 북측으로 연결로를 신설한 차별화된 설계안을 제안해 가장 높은 기술점수를 받았다. 이 사업의 기본계획은 전남 여수 신덕동에서 관광자원이 우수한 경남 남해 서상리를 잇는 남측 단방향 노선이었다.

하지만 DL이앤씨는 지역경제 활성화 및 균형발전 방안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해저 분기터널로 남해 서북쪽의 남상리를 함께 연결하는 설계안을 제안했다. 남해 남측과 북측 모두 여수와 연결해 관광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고루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DL이앤씨는 해저 분기터널 설계를 통해 터널 시공 막장을 기존 4개에서 8개로 2배 확장했다. 막장이 늘어나면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구간이 늘어나는 만큼 공사 기간을 13개월가량 단축할 수 있다. 연결로 터널도 많아져 유사시 대피와 구난, 연기배출 성능도 2배로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남해-여수 해저터널은 다양한 스마트 건설 기술로 완성됐다. DL이앤씨는 자체 개발한 ‘BIM(빌딩정보모델링) 터널 설계 패키지’를 통해 차별화한 설계안을 만들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해저 지반 조건을 정밀하게 분석 후, 최적의 선형을 탐색하고 BIM 및 지리정보체계 데이터를 활용해 자동으로 터널 발파 설계까지 진행했다.

동시에 DL이앤씨는 해저터널의 내화 성능을 높이고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단열·내화 콘크리트를 적용한다. 기존 콘크리트 대비 열전도도를 40% 감소시킨 고성능 콘크리트를 적용해 구조물의 안전성 극대화를 이뤄냈다.

24시간 통합관제 안전 플랫폼과 최첨단 기술 융합형 스마트 계측시스템, 스마트 건설장비 활용 등 안전성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디지털 기술도 적용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12:4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337,000
    • +1.58%
    • 이더리움
    • 2,784,000
    • +1.98%
    • 비트코인 캐시
    • 452,800
    • -0.22%
    • 리플
    • 3,122
    • +0.03%
    • 솔라나
    • 184,800
    • -1.33%
    • 에이다
    • 995
    • +0%
    • 이오스
    • 1,185
    • +29.93%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99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360
    • -0.32%
    • 체인링크
    • 20,390
    • +0.54%
    • 샌드박스
    • 402
    • -0.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