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31일 우크라이나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주 크리비리흐의 한 아파트 건물이 파손돼 구조대가 작업하고 있다.
(크리비리흐(우크라이나)/AP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3/08/20230803165254_1913128_1200_800.jpg)
정부가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에 1300억 원을 배정하는 등 내년 공적개발원조(ODA) 예산을 5조 원으로 잡았다. 올해 3.6조 원 대비 1.4조 원 대폭 확대한 액수다. 정부는 국격과 경제적 위상에 걸맞은 ODA 확대로 국익을 창출한다는 목표다.
정부는 29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도 국방 분야 예산안(정부안)을 심의·의결했다.
내년도 외교·통일 분야 예산은 7조6560억 원으로 올해 6조4092억 원 대비 19.5% 대폭 늘었다.
먼저 정부는 우리 기업과 인력의 해외 진출, 공급망 등 국익을 확보하고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ODA 예산을 5조 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관련 뉴스
구체적으로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에 1300억 원을 투입해 우리 기업의 진출 기반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또 잠재력 높은 인도·태평양, 아프리카 등 전략 지역 지원 예산도 1조 원에서 1조3000억 원으로 확대했다.
특히 자연재해, 지역분쟁, 식량 위기 등에 대응해 재난구호·식량·의료 등 인도적 지원을 올해 3000억 원에서 내년 7000억 원으로 두 배 이상 늘렸다.
2024~25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수입 활동 비용 20억 원을 편성하는 등 글로벌 가치·국익 외교도 본격 전개한다.
북한 인권에 대한 국내외 관심을 끌어올리기 위해 16억 원을 들여 북한 인권 실상에 대한 콘텐츠를 만들고, 104억 원을 투입해 북한 인권전시관도 건립한다. 또 북한이탈주민 정착기본금을 90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늘려 초기 지원도 강화한다.
재외동포청 출범을 계기로 차세대들의 정체성을 함양하고, 모국과 연대감 강화 및 글로벌 한인 네트워크 강화도 추진한다.
재외동포 청소년·대학생 초청 연수 인원을 2300명에서 3000명으로 늘리고, 재외동포 청년인턴 사업을 신규로 도입한다. 또 고려인과 사할린 동포 등 역사적 특수동포와 소외된 취약 동포 500명을 한국으로 초청해 한인으로서 자긍심도 높인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