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용자도 돈 빌리기 어려워져
올해 대출을 받기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치솟은 연체율을 관리하기 은행권이 대출 문을 걸어 잠근 가운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으로 한도마저 줄면서다.
1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지난해 11월 신규 취급한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의 평균 신용점수는 927.6점으로 전년(907점)보다 20.6점 올랐다.
신용대출의 평균 신용점수도 올랐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을 받은 고객의 평균 신용점수는 918.4점(KCB 기준)으로 전년(899.4점)보다 19점 올랐다. 이들 은행의 신용대출 평균 신용점수는 지난해 5월(922.6점)부터 920점대를 유지 중이다.
인터넷전문은행과 지방은행의 평균 신용점수도 큰 폭 상승했다. 인터넷은행(카카오·케이뱅크)의 11월 신규취급액 기준 분할상환식 주담대 평균 신용점수는 955.5점으로 전년(945.5)보다 10점 올랐다. 같은 기간 지방은행(광주·전북·대구·부산·경남·제주)은 898.5에서 915.8점으로 17.3점 상승했다.
인터넷은행에서 지난해 11월 신용대출을 받은 이들의 평균 신용점수는 866점으로 2022년 말(855.7점)보다 10.3점 올랐다. 같은 기간 6개 지방은행의 평균 신용점수는 805점에서 819점으로 14점 높아졌다.
은행권은 고금리 장기화로 대출 연체율이 치솟자 건전성을 관리하면서 대출 문턱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한 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고금리였기 때문에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고소득 차주들이 주로 은행 대출을 받으면서 신용점수 평균이 올라간 것”이라면서 “건전성 관리를 위해 보수적으로 대출이 나간 것도 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전월(0.39%) 대비 0.04%p 오른 0.43%를 기록했다. 주담대 연체율이 0.24%에서 0.25%로,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이 0.65%에서 0.71%로 각각 올랐다.
올해는 스트레스 DSR이 적용되면서 차주들이 대출을 받기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금융당국은 2월 26일부터 은행권 주담대에 대해 제도를 시행하고, 6월 중 은행권 신용대출과 2금융권 주택담보대출까지 적용을 확대한다.
상반기 중에는 스트레스 금리의 25%, 하반기 중에는 50%만 적용한다. 예컨대 연봉이 5000만 원인 직장인이 대출을 받을 경우, 연 5.04%의 변동금리로 30년 만기 주담대를 신청하면 지난해까지 3억3000만 원을 빌릴 수 있었지만 상반기에는 스트레스 금리 0.375%포인트(p)를 적용한 3억1500만 원으로 줄어든다. 혼합형(5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 대출 상품의 경우 3억2000만 원으로 감소한다.
대출을 갚을 능력이 되는 실수요자들의 대출이 어려워지자 부동산 경기 둔화와 소비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권흥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차주 단위 DSR 산정 예외 적용을 최소화하고 DSR 산정 시 금리 상승을 고려한 스트레스 DSR을 도입해 궁극적으로 상환능력을 산정할 때 세금 등을 총제적으로 고려하도록 관련 규제를 정비하는 등 금융회사의 영업 관행을 고쳐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