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4/01/20240107185835_1972078_210_280.jpg)
먼저 실질 GDP 증가율은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0.9~1.3%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2023년의 예상보다 양호한 GDP 증가율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지만 고물가, 고금리, 가계저축의 감소, 소비자 부채 증가 등의 위험요인이 반영된 수치다. 이런 성장률 추세가 이어지면 미국 경제는 조만간 팬데믹 이전 수준의 경제로 정상화될 수 있다.
한편 2023년 소비 지출은 높은 물가와 금리 수준에도 불구하고 예상과 다르게 견고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가 2024년에도 계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왜냐하면 실질소득 증가율이 여전히 낮고, 팬데믹 이후 저축은 줄어들었고, 가계 부채는 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비 지출은 올해 1~2분기에는 위축이 불가피하고, 하반기에 물가와 금리가 안정되면 다시 증가할 것이다.
인플레이션의 경우, 팬데믹 이후 지난 2년 동안 전례 없이 급등한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었다. 경기 회복과 함께 제품 및 인력 부족으로 인해 물가가 치솟았다. 그러나 이제 수요의 큰 감소 없이도 공급 부문의 문제가 해소되면서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하향 안정화된다면 연준의 2% 목표치는 2024년 말경에 달성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연준의 첫 금리 인하 시기는 빠르면 3월 또는 6월 정도가 될 전망이다.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2024년 중반까지 연방기금 금리는 5.25~5.5%로 유지될 전망이다. 즉 향후 몇 분기 동안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면 연말에는 연방 금리의 목표 범위가 4.0~4.25% 수준이 될 것이다.
2024년 노동시장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전망이며, 일자리 증가 규모는 변동성이 있는 가운데 느린 속도로 개선될 전망이다. 실업률은 지난 2년 동안 4% 아래에서 유지되었고, 지난해 말 3.7% 수준이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2024년에도 일자리는 여전히 많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이다. 그리고 임금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을 능가할 만큼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결론적으로 2024년 미국 경제는 일부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경기 침체보다는 연착륙을 통한 회복 추세가 예상된다. 그리고 팬데믹 이후 한동안 미국 경제를 지배했던 변동성과 불확실성은 점차 사라질 전망이다. 그래서 비록 상반기의 성장세가 다소 약하더라도 연간으로는 상저하고의 경기 흐름이 예상된다.
다만 중국과의 패권경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등은 2024년에도 불확실성과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더 실질적인 위험은 에너지, 식량, 반도체와 같은 주요 원자재 또는 상품의 공급망 충격으로 발생하는 시장의 혼란이다. 마지막으로 11월 미국 대선이 글로벌 경제와 지정학에 미칠 영향에 주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