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샘, 대웅, 샘표…” 자사주 보유 비중 높고 매입·소각 충실히 이행한 곳은?

입력 2024-01-30 08: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당국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언급한 가운데 자사주 소각 관련해서도 검토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왔다. 올해 신년 대통령 업무보고에 '자사주 소각 의무화 방안'은 제외됐으나, 금융당국은 추가적인 방법론에 대해 검토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제외된 데는 산업계 측의 ‘경영권 방어 수단이 부족’ 입장과 다양한 의견들이 조율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30일 DS투자증권은 "자사주 소각 의무화 방안은 금융위원회에서 지난해 상반기부터 추진해왔다. 업무보고에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 대한 신주 배정 금지는 포함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자사주 소각 의무와 관련해 △자사주 비중 10% 초과에 대해서는 강제소각 △자사주 보유 한도 10% 한정 등이 논의된 바 있다. 학계에서는 경영권 방어를 위한 자사주 매각 금지를 제안했다. 이 밖에도 미국 사례로 △자사주 재매각 시 요건 강화 △미소각 자사주 시가총액 배제 등이 검토되고 있다.

김수현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일정 규모 이상 자사주 보유에 대한 공시 의무 부과, 자사주 처분 시 처분 목적 공시 등은 소액 주주 보호와 기업가치 정상화에는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여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확실한 것은 제도 도입 시 좋은 의도를 가진 기업만이 자사주 정책을 지속해서 이행할 것이라는 점"이라며 최근 2년간 자사주 보유량이 많고, 소각 목적으로 자사주를 매입 및 소각한 기업들을 추려서 소개했다.

DS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기업 중 자사주 보유 비중이 25% 이상으로 높은 기업은 신영증권(36.2%), 엘엠에스(35.0%), 코아스템켐온(34.9%), 매커스(33.2%), SNT다이내믹스(32.7%), 롯데지주(32.5%), 대한방직(31.8%), 만호제강(30.3%), 샘표(29.9%), 티와이홀딩스(29.8%), 한샘(29.5%) 등이 있다. 다만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도입되더라도 기존에 보유 중인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김 연구원은 "이 중에서도 그 내역과 의도를 추적해보면 상당수가 △대주주 주식담보 대출 담보 유지비율 관련 주가 부양 △대주주의 지분율 확대 등의 목적이 있었다"며 "이 중에는 정말 순수한 의도의 기업도 있었다. 결론은 제도 도입 시 자사주 매입의 희소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소각 목적의 자사주를 매입하는 기업들에 대한 평가는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335,000
    • -1.06%
    • 이더리움
    • 2,758,000
    • -3.09%
    • 비트코인 캐시
    • 446,800
    • -3.19%
    • 리플
    • 3,110
    • -2.45%
    • 솔라나
    • 185,600
    • -1.33%
    • 에이다
    • 993
    • -2.17%
    • 이오스
    • 1,209
    • +17.26%
    • 트론
    • 350
    • -0.57%
    • 스텔라루멘
    • 395
    • -2.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570
    • -3.56%
    • 체인링크
    • 20,070
    • -5.06%
    • 샌드박스
    • 400
    • -3.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