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 티맵모빌리티 대표가 4일 서울시 중구 SK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 중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임유진 기자 newjean@)](https://img.etoday.co.kr/pto_db/2023/09/20230904140504_1923644_1200_936.jpg)
가장 크게 성장한 분야는 데이터&테크(Data&Tech)다. 안전운전할인 특약(UBI)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88.9% 증가했고, TMAP(티맵) 오토와 API&Data 사업은 각각 26.4%, 16.2% 늘었다. UBI는 티맵 플랫폼 활성 이용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운전점수 이용자 수가 지난해 말 1600만 명을 돌파했다. 전체 가입자 중 74%에 달한다.
티맵의 지난해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최대 1471만6752명(10월),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 602만 명을 기록했다.
티맵 오토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시장에서 지속해서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에도 탑재되며 외연을 확장했다. API&Data 사업은 지난 2년간 고객사를 20% 확장했다.
플랫폼 중개 영역에서는 대리운전 및 발렛 서비스 등이 2022년 대비 153% 늘었다. 대외 불확실성 요인들이 해소된 결과로 해석된다.
관련 뉴스
모빌리티 라이프 영역의 매출도 올랐다. 공항버스는 여행수요 회복과 함께 티맵 플랫폼을 통한 예약·결제 서비스가 활성화되며 매출이 전년 대비 7배 이상 성장했다. 같은 기간 주차는 90.4%, 광고와 렌터카 사업은 각각 53.8%, 17.1% 늘었다.
티맵모빌리티는 지급수수료 등 고정비용을 효율화하면서 수익성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간 당기순손실은 371억 원으로 2022년 손실액인 1662억 원 대비 1291억 원 개선됐다.
이재환 티맵모빌리티 최고전략책임자(CSO)는 “비용 효율화와 동시에 성장 잠재력이 높은 사업의 공격적 확장을 통해 2024년에는 조정 EBITA(상각전영업이익) 기준 흑자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속적인 혁신과 발전을 통해 반드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