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항공우주 전문가 포럼 개최…민간주도 산업 발전 한목소리

입력 2024-04-19 10: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AI는 18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호텔에서 '민간주도 뉴 에어로스페이스 시대의 산업화 달성전략'을 주제로 2024년 상반기 항공우주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제공=KAI)
▲KAI는 18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호텔에서 '민간주도 뉴 에어로스페이스 시대의 산업화 달성전략'을 주제로 2024년 상반기 항공우주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제공=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는 18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호텔에서 ‘민간주도 뉴 에어로스페이스(New Aerospace) 시대의 산업화 달성전략’을 주제로 2024년 상반기 ‘항공우주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강구영 KAI 사장은 환영사에서 “최근 글로벌 항공우주시장에서는 뉴 에어로스페이스로 대변되는 하늘과 우주 공간에는 빅뱅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우주항공청 설립으로 우리도 민간 주도의 산업화와 경제 발전 기반이 마련됐다”며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산학연이 손잡고 미래 첨단 항공우주 플랫폼 개발과 산업 발전 방향을 고민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항공우주 전문가 포럼’은 KAI가 주최하고 한국항공우주산학위원회(산학위)가 주관하는 산학 토론의 장으로, 항공우주 미래사업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 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2005년부터 21회째 이어오고 있다.

이번 포럼에는 강 사장과 산학위 위원장인 김유단 서울대 교수를 비롯한 33명의 교수진,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김민석 부회장 등 총 50여 명의 전문가 그룹이 참석했다.

포럼은 김 위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우주항공청 개청에 따른 △산학연 협력 방안과 △연구개발(R&D)ㆍ인재양성 정책 추진 △산업계의 도전과제 등 총 3가지 주제발표와 패널 토의로 진행됐다.

발표 이후 진행된 전문가 토론에서는 우주항공산업이 대전환하고 있는 지금이 미래 첨단 항공우주 플랫폼에 도전할 수 있는 최적기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미래비행체(AAV)와 사업성이 높은 우주 발사체ㆍ비행체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금까지는 국가 예산이 R&D 사업과 국가 주도의 올드 스페이스(Old Space0 개발에 집중됐다는 한계점에 공감하고, 민간 주도로 우주산업화가 가능하도록 국가의 우주개발 정책 변화가 시급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불황에 날개 단 SPA 패션…탑텐·유니클로 ‘1조 클럽’ 예약
  • 치솟는 환율에 수입물가 불안...소비자물가 다시 뛰나
  • '잘하는 것 잘하는' 건설업계…노후 주거환경 개선 앞장
  • SK온, ‘국내 생산’ 수산화리튬 수급…원소재 경쟁력 강화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위해제품 속출' 해외직구…소비자 주의사항은?
  • “한국서 느끼는 유럽 정취” 롯데 초대형 크리스마스마켓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298,000
    • +0.02%
    • 이더리움
    • 4,754,000
    • +3.3%
    • 비트코인 캐시
    • 720,500
    • -3.29%
    • 리플
    • 2,062
    • -3.87%
    • 솔라나
    • 357,600
    • +1.65%
    • 에이다
    • 1,497
    • +0.4%
    • 이오스
    • 1,127
    • +5.23%
    • 트론
    • 299
    • +4.91%
    • 스텔라루멘
    • 827
    • +38.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100
    • +0.1%
    • 체인링크
    • 24,840
    • +8.57%
    • 샌드박스
    • 686
    • +3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