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의대 교수들 “증원 철회해야 사태 수습 가능”

입력 2024-05-07 14: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휴학 승인 미루기·학사일정 단축은 편법 불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이 지난달 30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서 '주 1회 휴진'과 의료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이 지난달 30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서 '주 1회 휴진'과 의료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의대 증원 정책을 철회해 교육을 정상화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연세대 의대 비대위는 7일 ‘의학교육의 혼란은 국민의 건강에 재앙으로 돌아온다’라는 입장문을 통해 “정책의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근거의 신속한 제시를 요구한다”며 “그런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가장 정직한 대책은 증원계획 철회”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교수들은 이번 증원으로 인해 발생할 손익이 없다”라며 “교육자로서 양심에 따라 ‘의학 교육의 부실과 파행, 비정상적인 의료인력 배출, 그로 인한 국민 건강의 위협’을 강요하는 정부의 정책에 더는 순응할 수 없음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의학 교육이 파국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비대위는 “의대는 일반대학의 기준을 훨씬 뛰어넘는 평균 주당 35시간, 학년당 42주의 학습 과정이 방학도 사실상 포기한 6년 동안 이어진다”라며 “대다수 학생이 휴학하거나 유급당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증원계획이 없는 연세의대에서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긴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비대위는 “앞으로 6년 동안 두 학번이 함께 교육을 받는 학년이 생기는 것이다”라며 “해당 학년에 한해 100% 증원이란 부정 효과가 생긴 셈인데, 유감스럽게도 우리 대학에는 두 학년(약 250명)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강의실도, 실습 공간도 없고, 이들을 지도할 교육 인력도 수급하기 어렵다”라고 우려했다.

휴학 승인을 미루거나 학사일정을 단축하는 등의 방식은 위기의 본질을 외면하는 편법에 불과하다고도 했다. 비대위 측은 “이미 시작된 의학 교육의 파국을 되돌리기 위하여, 오늘이라도 정부가 증원 정책을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달 3일 의대를 둔 전국 대학 40곳에 공문을 보내 대규모 유급 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교육부는 △탄력적 학사운영 추진 계획 △예과 1학년 학사운영 관련 조치계획 △임상 실습 수업 운영 관련 조치계획 △집단행동 강요 관련 상황 점검·대응 등을 마련하라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LCK, 2일 한화생명 vs 젠지 맞대결로 포문…페이커 1000경기 출장 눈앞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이제 환급 앱은 안녕…종합소득세 환급, 국세청 ‘원클릭’으로 받아보자 [경제한줌]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041,000
    • +0.89%
    • 이더리움
    • 2,762,000
    • +0.11%
    • 비트코인 캐시
    • 451,900
    • -1.48%
    • 리플
    • 3,095
    • -0.64%
    • 솔라나
    • 184,500
    • -1.65%
    • 에이다
    • 991
    • -0.7%
    • 이오스
    • 1,188
    • +19.4%
    • 트론
    • 353
    • +1.44%
    • 스텔라루멘
    • 394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170
    • -3.85%
    • 체인링크
    • 19,990
    • -2.25%
    • 샌드박스
    • 397
    • -2.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