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41개국에 꽂은 ‘K-깃발’…해외서 번 돈 6% 불과 [K-금융, 빛과 그림자 上]

입력 2024-05-08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5-07 19: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국가 경제의 큰 축은 산업과 금융으로 나뉜다. 산업과 금융은 톱니바퀴처럼 엮여 함께 성장한다. 하지만 한국의 산업과 금융의 격차는 크다. 산업 분야에서 전자, 반도체, 자동차 등 세계 일류 상품을 만든 글로벌 스탠다드를 주도하고 있다. 반면 금융은 글로벌 시장에서 여전히 변방이다. 1897년 한국 최초의 근대적 은행인 한국은행이 설립된 후 127년이 흘렀고 해외에 첫 깃발을 꽂은 지 57년이 됐지만 ‘안방 호랑이’에 그치고 있다. K-금융의 명과 암을 조명해본다.


10곳중 3곳이 아시아 편중...절반 이상은 동남아
4대 국내은행 해외 수익 비중 6.34% 그쳐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이 정체된 상황에서 해외 수익 다변화를 통한 신 성장 동력 발굴은 국내 금융회사들의 오랜 숙원이자 필수 과제다. 국내 금융사들은 수 십 년간 해외 시장을 꾸준히 노크했다. 신한은행처럼 ‘글로컬라이제이션(글로벌+로컬)’을 통해 해외 진출에 성공한 금융사도 있지만 국내 금융사 중 많은 곳들은 목표 대비 낮은 성적표를 받고 있다.

10곳 중 7곳이 아시아에 편중돼 있고 그 중 절반 이상은 동남아 시장에 몰려있다. 국내 금융사끼리 현지인이 아닌 국내기업, 교민들을 대상으로 소모전을 펼치면서 출혈 경쟁도 일삼았다. 그러니 국내 1위 은행이 글로벌 시장 50위에도 들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7일 본지가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국내 금융사(국내은행, 보험사, 증권사)의 해외점포는 346개로 전년(352개) 대비 6개 줄었다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경우 107개에서 104개로 3개 감소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초 미얀마에 양곤사무소를 폐쇄했다. 미얀마 군부가 향후 1년 간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쿠데타를 공식화하는 등 악재가 겹쳤기 때문이다.

해외서 벌어들이는 돈도 수년 째 제자리걸음이다. 국내은행의 해외 수익 비중은 10%를 한참 밑돈다. 지난해 총수익은 287조 원으로 이중 해외수익은 18조2131억 원에 불과했다. 총수익 대비 해외수익 비중은 6.35%에 그쳤다. 4대 은행의 경우 총수익 173조 원에서 해외 수익이 12조9258억 원으로 7.46% 수준이다.

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해외진출에 소극적인 보험과 증권사는 더욱 초라하다. 증권사의 해외수익 비중은 4.1%에 머물렀고 보험사의 경우 해외실적 적자를 기록해 수익 비중을 거론하기 어려울 정도다.

반면 글로벌 금융사들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2022년 기준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경우 매출 중 글로벌 자산 및 투자관리, 글로벌 금융 및 글로벌 시장 등 투자·해외 영업 관련 수익 비중은 62%에 달했다. 국내 은행보다 10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한 ‘해외 투자은행(IB)의 발전전략 및 한국형 IB의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주요 글로벌 은행의 해외점포 수익 비중은 40~50% 내외다. 구체적으로 △골드만삭스 40% △모건스탠리 44% △JP모건 46% △크레디트스위스(UBS) 78% △노무라홀딩스 43%다.

일본의 은행들도 해외 수익 비중이 국내 은행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일본의 3대 대형금융그룹인 미쓰비시UFC그룹(MUFG), 미쓰이스미토모(SMFG), 미즈호(Mizuho) 등은 2022년 영업수익의 약 40%를 해외에서 벌었다. 이는 최근 10년 새 2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해외사업의 지역 비중은 아시아 40%, 북미 등 아메리카 35%, 유럽 등 기타 지역 20%로, 전 세계에서 골고루 수익을 거둬들이고 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글로벌 금융위기시 수익이 감소할 수 있는 만큼 동남아 쏠림 현상에서 벗어나 유망한 신흥시장 개발 통한 해외 진출 다각화 필요하다”며 “디지털 전환이 빠른 인도, 방글라데쉬, 스리랑카 등 남아시아와 유럽 등으로 해외 시장을 다변화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은행장 교체 수순…차기 행장 후보 내주 윤곽 나올 듯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게임 후보 6선…각 작품 경쟁력은? [딥인더게임]
  • "동덕여대 손해배상 상대 특정 어려워…소송 쉽지 않을 것"
  • 트럼프 등에 업은 머스크, 베이조스 겨냥…“그는 트럼프 패배 원했다”
  • 이재명, 또 입단속…“거친 언행 주의해달라”
  • 네이버웹툰, 여혐 논란 사과…'이세계 퐁퐁남' 공모전 최종 탈락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사상 초유' KBL에 징계 맡겼다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832,000
    • +1.44%
    • 이더리움
    • 4,724,000
    • +7.19%
    • 비트코인 캐시
    • 694,000
    • -6.28%
    • 리플
    • 1,936
    • +24.42%
    • 솔라나
    • 363,900
    • +6.62%
    • 에이다
    • 1,214
    • +10.46%
    • 이오스
    • 972
    • +6.58%
    • 트론
    • 278
    • -0.71%
    • 스텔라루멘
    • 393
    • +17.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450
    • -11.29%
    • 체인링크
    • 21,500
    • +4.88%
    • 샌드박스
    • 494
    • +3.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