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중진공, 中企 '스케일업금융'에 1.5조 규모 몰려

입력 2024-09-09 09: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체신용으로 회사채 발행 어려운 성장 유망 중기 자금조달 지원

▲중진공 전경사진. (사진제공=중진공)
▲중진공 전경사진. (사진제공=중진공)

#. 뱅크웨어글로벌는 국내 유일 코어뱅킹 솔루션 기업으로, 대표적인 중진공 스케일업금융 우수 지원 사례로 꼽힌다. 뱅크웨어글로벌는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등 신기술 투자 및 신사업 진출을 위해 2020년과 2023년, 회사채 발행을 지원받아 일본, 중국 등 해외 신규 판로를 확보했으며, 2024년 8월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 쾌거를 이뤘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은 ‘2024년 제2차 스케일업금융’ 참여기업 모집에 총 278개사가 몰려, 애초 발행예정 규모인 2800억 원의 5배가 넘는 1조5737억 원이 접수됐다고 9일 밝혔다.

스케일업금융은 자체 신용으로 회사채 발행이 어려운 중소기업이 직접금융 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민간자금과 정부재정을 결합하여 대규모 자금을 공급해 중소기업의 스케일업을 유도한다.

중소기업은 스케일업금융을 통해 발행한 회사채를 유동화증권(P-CBO)으로 구조화해 민간투자자 또는 중진공에게 매각함으로써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스케일업금융 구조는 중소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를 유동화전문회사(SPC)가 인수한 후 이를 기초로 유동화증권(선·중·후순위)을 발행한다. 이후 선·중순위증권은 민간에 매각하고, 후순위증권은 중진공과 발행기업 등이 매입하는 방식이다.

중진공은 올해 혁신성장 분야, 초격차·신산업 분야를 영위하는 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하기 위해 접수 단계부터 코스닥협회, 코넥스협회, 이노비즈협회 등 민간기관과 협업하여 공동사업 설명회를 추진했다.

강석진 중진공 이사장은 “올해 스케일업금융은 10월 중 약 2800억 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혁신성장, 초격차·신산업 분야 우수 중소기업의 대규모 자금조달을 지원해 중견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중기부와 중진공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스케일업금융을 통해 혁신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 458개사를 선정해, 약 1조3387억 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지원했다. 그 결과,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달성 기업 28개사,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7개사를 배출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450,000
    • -0.96%
    • 이더리움
    • 2,759,000
    • -3.06%
    • 비트코인 캐시
    • 447,900
    • -2.74%
    • 리플
    • 3,110
    • -2.42%
    • 솔라나
    • 185,300
    • -1.33%
    • 에이다
    • 994
    • -1.58%
    • 이오스
    • 1,227
    • +20.29%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95
    • -2.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710
    • -2.83%
    • 체인링크
    • 20,050
    • -4.98%
    • 샌드박스
    • 400
    • -2.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