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회계·세무 종사자 10명 중 8명 "AI 기술 활용한 외부감사 감사품질 높일 것"

입력 2024-09-09 12: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EY한영)
(출처=EY한영)

국내 기업 재무·회계·세무 종사자 대다수가 인공지능(AI) 도입으로 감사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앞으로 'AI 기술 및 데이터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이 감사인의 핵심 역량이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9일 국내 기업의 재무·회계·세무 관련 부서 임직원 총 616명이 참여한 '2024 EY한영 AI와 재무의 미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AI 기술을 활용한 외부감사가 감사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률은 82%에 달했다.

외부감사 수행시 AI 도입을 통해 개선이 기대되는 사항으로 응답자들은 △감사시간 감소 및 일정 단축(74%) △외부감사에 대한 기업의 대응 노력 절감(45%) △기업 프로세스 개선에 대한 통찰력 제공(44%)으로 내다봤다.

AI가 외부감사에 도입되면 64%는 지금과 큰 변화 없거나 오히려 회계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회계사의 역할이 축소될 것이라고 생각한 응답자는 36%에 불과했다.

재무·회계·세무 종사자들은 AI가 도입되는 미래 환경에서는 감사인이 갖춰야 할 역량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바라봤다. AI가 도입되는 미래에 감사인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AI 및 데이터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69%)을 1위로 지목했다.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 능력(49%), 회계 및 감사에 대한 전문성(48%), 정보 보안 및 높은 윤리적 기준(30%)이 뒤따랐다.

EY 연구에 따르면 데이터 추출과 유효성 검증, 공시 사항 검토, 데이터 분석 조서 작성 등과 같은 감사 업무에 AI를 도입하면 기존 방식 대비 효율성을 60% 이상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Y한영은 내외부 데이터 분석, 리스크 평가, 재무제표 연결 자동화 및 표준화, 데이터 구조화, 증빙 문서 요약 등에 다양한 AI 툴을 활용해 감사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감사 정확도와 품질을 제고하고 있다.

이광열 EY한영 감사부문 대표는 "재무·회계·세무 종사자들은 AI가 도입되더라도 여전히 감사인의 전문적인 판단과 의사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감사인들은 향후 AI의 적극적인 활용과 데이터 분석 및 해석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7,567,000
    • +1.01%
    • 이더리움
    • 2,817,000
    • -0.56%
    • 비트코인 캐시
    • 458,500
    • -0.69%
    • 리플
    • 3,179
    • +0%
    • 솔라나
    • 193,000
    • +2.33%
    • 에이다
    • 1,016
    • +0.59%
    • 이오스
    • 1,216
    • +19.92%
    • 트론
    • 354
    • +0.57%
    • 스텔라루멘
    • 401
    • -1.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640
    • +0.02%
    • 체인링크
    • 20,640
    • -1.99%
    • 샌드박스
    • 407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