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2032년까지 첫 상업용 원전 가동 추진

입력 2024-09-26 15: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IAEA 총회서 로드맵 공개
2032년 1200㎿, 2050년 4800㎿ 목표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이 2022년 5월 7일 마닐라에서 연설하고 있다. 마닐라/EPA연합뉴스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이 2022년 5월 7일 마닐라에서 연설하고 있다. 마닐라/EPA연합뉴스
필리핀이 2032년까지 국가 최초의 상업용 원전 가동을 추진한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샤론 가린 필리핀 에너지부 차관은 성명에서 “정부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에서 원자력 에너지 로드맵을 공개했다”며 “우린 2032년까지 상업적으로 가동되는 원전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발표했다.

나아가 “처음에는 최소 1200메가와트(㎿)를 국가 전력에 포함하고 2050년까지 점진적으로 4800㎿까지 늘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린 차관은 “당국은 원자력 에너지 프로그램의 안전한 개발을 감독할 독립적인 규제 기관을 설립하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중”이라며 “또한 원전 안전에 초점을 맞춘 주요 법안 통과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원자력 기술의 용도는 여러 부문에 걸쳐 광범위하게 유익하다”며 “건강, 의료, 농업, 산업, 에너지 분야에 걸쳐 있고 이를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된다”고 강조했다.

필리핀은 11월 마닐라에서 국제 원자력 공급망 포럼을 개최하고 정부와 민간 부문 이해관계자들을 모아 파트너십을 도모할 계획이다.

필리핀은 신형 원전을 건설하는 것 외에도 1와트의 전력도 생산하지 못한 채 40년 동안 방치된 서부 해안 원전을 되살리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는 “필리핀은 최초의 상업용 원전 건설을 통해 탄소 배출 없는 전력원으로 눈을 돌리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함께하게 될 것”이라며 “신흥 시장에선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고자 24시간 발전이 가능한 원자력 에너지가 검토되고 있고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도 채택을 고려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624,000
    • +1.81%
    • 이더리움
    • 2,813,000
    • -0.92%
    • 비트코인 캐시
    • 462,000
    • -0.45%
    • 리플
    • 3,201
    • +0.16%
    • 솔라나
    • 193,600
    • +1.57%
    • 에이다
    • 1,021
    • +0%
    • 이오스
    • 1,239
    • +20.06%
    • 트론
    • 352
    • +0.86%
    • 스텔라루멘
    • 404
    • -2.1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970
    • -1.09%
    • 체인링크
    • 20,800
    • -1.75%
    • 샌드박스
    • 408
    • -1.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