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증시] 일제히 급등…중국 경기부양ㆍ미국 기술주 효과 톡톡

입력 2024-09-26 17: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부양책 효과…상하이 3.6%↑
美마이크론 덕, 亞기술주↑

(출처 마켓워치)
(출처 마켓워치)

26일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급등했다. 중국의 경기 부양 기대감과 미국 반도체업체 마이크론의 호실적이 주요국 증시의 우상향 곡선을 부추겼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일본증시 닛케이225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55.37포인트(2.79%) 상승한 3만8925.63에 마감했다. 토픽스지수는 70.62포인트(2.66%) 오른 2721.12에 마감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104.65포인트(3.61%) 뛴 3000.95에 장을 마쳤다. 상하지 지수가 3000포인트를 넘어선 것은 6월 초 이후 3개월여 만이다. 대만증시 가권지수는 97.21포인트(0.43%) 오른 2만2858.81에 거래를 마쳤다.

오후 4시 45분 현재 홍콩 항셍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0% 넘게 급등한 이후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 시간 737.12포인트(3.84%) 상승한 1만9861.78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간 인도 센섹스지수는 0.32% 강보합세를, 싱가포르 ST지수는 0.11% 약보합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중국 본토증시와 홍콩 증시는 4% 안팎 급등하며 정책 효과를 고스란히 반영했다.

전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은행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낮추면서 장기 유동성 1조 위안(약 189조4000억 원)을 공급하는 등의 부양책을 내놨다. 뒤이어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2016년 이후 최대인 0.3%포인트 인하했다.

이를 발판삼아 상하이ㆍ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는 무려 4.23%) 상승했다. CSI 300은 7거래일 연속 오르며 올해 상승률이 플러스로 전환했다.

같은 날 미국 마이크론은 6∼8월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93% 늘어난 77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히면서 아시아 기술주 반등에 힘을 불어넣었다.

마이크론의 호실적에 힘입어 국내 삼성전자(+4.02%)와 SK하이닉스(+9.44%)도 급등했다. 일본의 도쿄일렉트론(+8.01%)과 어드반테스트(+5.39%) 등 한일 증시에서 시가총액 비중이 큰 반도체ㆍ기술주 강세가 두드러졌다.

한편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2.90%와 2.62% 상승 마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LCK, 2일 한화생명 vs 젠지 맞대결로 포문…페이커 1000경기 출장 눈앞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이제 환급 앱은 안녕…종합소득세 환급, 국세청 ‘원클릭’으로 받아보자 [경제한줌]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974,000
    • +0.85%
    • 이더리움
    • 2,761,000
    • +0.22%
    • 비트코인 캐시
    • 451,900
    • -1.48%
    • 리플
    • 3,093
    • -0.71%
    • 솔라나
    • 184,500
    • -1.6%
    • 에이다
    • 990
    • -0.8%
    • 이오스
    • 1,188
    • +19.52%
    • 트론
    • 353
    • +1.44%
    • 스텔라루멘
    • 394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170
    • -4.25%
    • 체인링크
    • 19,950
    • -2.35%
    • 샌드박스
    • 396
    • -3.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