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당분간 2% 밑돌 것…유가 불확실성은 커”

입력 2024-10-02 09: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은행)
(한국은행)
한국은행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해 당분간 2%를 밑돌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중동사태에 따른 유가 불확실성은 크다고 진단했다.

김웅 부총재보는 2일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2%를 밑돌다가 연말로 갈수록 기저효과 등이 작용하면서 2% 내외 수준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다만 중동사태 전개 양상에 따른 유가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를 기록했다. 전월(2.0%)보다 0.4%포인트(p) 하락한 수치다. 2021년 3월(1.9%) 이후 1%대로 다시 내려앉았다.

석유류(-0.33%p), 근원물가(-0.06%p), 가공식품(-0.03%p) 등이 하방요인으로 작용했다. 석유류가격은 국제유가가 지난달에 배럴당 평균 73.4달러(두바이유 기준)로 하락하면서 낮아졌다.

농산물가격은 폭염, 명절 수요 등에 따른 일부 채소가격 상승에도 과실가격 큰 폭 하락 등의 영향으로 오름폭이 소폭 둔화됐다.

생활물가는 석유류·농산물가격 둔화 등으로 전월(2.1%)보다 0.6%포인트 하락한 1.5%를 기록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같은 기간 0.1%포인트 떨어진 2.8%로 집계됐다.

김웅 부총재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로 낮아졌으며 근원물가 상승률은 2% 수준에서 안정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데, 물가안정의 기반이 다져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하락은 국제유가의 큰 폭 하락 등 대부분 공급 측 요인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162,000
    • +2.76%
    • 이더리움
    • 2,805,000
    • +4.9%
    • 비트코인 캐시
    • 467,200
    • +6.45%
    • 리플
    • 3,264
    • +6.49%
    • 솔라나
    • 192,600
    • +3.33%
    • 에이다
    • 1,015
    • +6.51%
    • 이오스
    • 1,008
    • +12.88%
    • 트론
    • 348
    • +0.58%
    • 스텔라루멘
    • 407
    • +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600
    • +5.08%
    • 체인링크
    • 20,930
    • +6.89%
    • 샌드박스
    • 415
    • +4.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