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홍 "기초·퇴직·개인연금 등 일부 구조개혁과 모수개혁 연계"[2024 국감]

입력 2024-10-08 13: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소득대체율 44%↑=尹 거부권?" 野 질의에 "아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문에 답하고 있다.<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연합뉴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문에 답하고 있다.<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연합뉴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8일 연금개혁 관련 "모든 구조개혁을 하려 하면 모수개혁도 안 되기 때문에 보험료율, 소득대체율과 직접 연결된 기초·퇴직·개인연금 정도는 같이 가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복지부 대상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연금개혁특위에서 이번 정기국회 때 1차 모수개혁을 하고 내년에 구조개혁을 논의하자는데 정부 입장은 어떤가'라는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모수개혁과 구조개혁이 같이 가야 한다고 보지만 구조개혁은 범위가 굉장히 넓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 의원이 "결국 이번 정기국회 때 모수개혁만 하자는 (여당) 주장에 동의한다고 보고 정부안을 냈다고 보는데 지난 국회에서 양당이 소득대체율 42~44%(에서 결정하자고) 이야기가 됐었다"며 "합의 가능한 모수개혁안이 있었는데 그걸 걷어찬 게 정부"라고 지적했다.

이에 조 장관은 "그때 국회가 합의한 것은 아니다"라며 "보험료율 13% 인상안은 저희가 받아들이는 거지만, 소득대체율은 기초연금 인상 수준, 시기와 연계해서 검토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서 의원이 "(소득대체율) 42~44%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44% 이상이 되면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나"라고 재차 묻자 조 장관은 "그렇지 않다"며 "국회에서 충분히 논의될 수 있도록 정부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가 추진하는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실손보험 개선 등 의료개혁을 일각에서 의료민영화 수순으로 보는 것과 관련해 조 장관은 "의료개혁과는 전혀 상관이 없으니 오해가 없길 바란다"면서 "그런 걸 하려면 법률 개정이 필요한데 추진할 생각도 없다. 저희가 하려는 건 필수의료, 지역의료 확충"이라고 선을 그었다.

정부의 의대 증원이 촉발한 전공의 이탈 등 의정갈등 장기화와 관련해서는 "(의료 현장에) 우려하는 것만큼의 큰 혼란은 없다"며 "현장 의료진의 헌신과 국민 협조로 잘 유지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공의가 빨리 복귀하는 게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LCK, 2일 한화생명 vs 젠지 맞대결로 포문…페이커 1000경기 출장 눈앞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이제 환급 앱은 안녕…종합소득세 환급, 국세청 ‘원클릭’으로 받아보자 [경제한줌]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016,000
    • +0.87%
    • 이더리움
    • 2,760,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451,900
    • -1.48%
    • 리플
    • 3,095
    • -0.67%
    • 솔라나
    • 184,500
    • -1.65%
    • 에이다
    • 991
    • -0.6%
    • 이오스
    • 1,185
    • +18.86%
    • 트론
    • 353
    • +1.15%
    • 스텔라루멘
    • 394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170
    • -3.85%
    • 체인링크
    • 19,970
    • -2.25%
    • 샌드박스
    • 396
    • -3.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