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 택지지구 1.2만 가구 공급… “풍부한 인프라 강점”

입력 2024-10-11 11: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수도권 수도권 택지지구 분양 물량은 14개 단지, 총 1만2355가구로 조사됐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올해 수도권 수도권 택지지구 분양 물량은 14개 단지, 총 1만2355가구로 조사됐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올해 수도권 택지지구 공급물량이 다수 출격을 앞뒀다. 정비사업과 달리 공급 물량의 100%가 일반 수요자에게 공급돼 동·호수의 선택이 자유롭고 개발여건에 따라 주거 가치 향상과 집값 상승이 기대돼서다.

11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 택지지구에서 분양하는 아파트(공공분양 포함)는 14개 단지, 총 1만2355가구다.

비봉지구, 세교지구 등이 위치한 경기(7475가구)에서 가장 많은 물량이 풀린다. 인천의 경우 연수구, 미추홀구, 서구 등에서 총 488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택지지구는 주거와 교통, 교육, 자연, 생활, 문화 등이 체계적으로 개발돼 다양한 인프라를 편리하게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공택지지구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분양가 상승기에도 차익 시현이 가능해 공급 단지의 청약 성적도 좋은 편이다.

7월 성남시 금토지구에서 분양한 ‘판교테크노밸리 중흥S-클래스’는 1순위 청약에서 평균 1110.35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달 과천시 지식정보타운에서 분양에 나선 ‘과천 디에트르퍼스티지’는 평균 228.51대 1의 경쟁률을 썼다.

매매가격도 오르는 추세다. 서울 강동구 고덕강일지구 ‘힐스테이트 리슈빌 강일’ 101㎡(이하 전용면적)는 8월 12억8000만 원(3층)에 신고가를 갱신했다. 2020년 분양 당시 가격(약 8억5000만 원) 대비 4억 원가량 상승한 셈이다.

같은 달 시흥시 목감지구 첫 분양 단지인 ‘목감퍼스트리움’ 59㎡는 1년 전(4억5000만 원, 3층)보다 1억2000만 원 오른 5억7500만 원(19층)에 거래됐다. 동일 평형 신고가다.

업계 관계자는 “연내 수도권 공급 물량에 완성 단계에 접어든 택지지구의 공급 물량이 포함된 만큼 입주와 동시에 완성된 생활 인프라를 누리기 원하는 이들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BYD 이어 지커까지…중국車 한국 공습 '파상공세'
  • 편의점서 즐기는 축구·야구…팬심 저격에 판매량 ‘쑥’
  • 돌아온 봄의 전령 ‘벚꽃’…우리 자치구에서 즐겨볼까?
  • 백종원, 주주총회 사과 후 달려간 곳…안동서 무료 식사 제공 "두고볼 수 없어"
  • 바둑판 위에서 펼쳐지는 전쟁…이병헌과 유아인이 그려낸 '승부' [시네마천국]
  • “소리로 한번, 맛으로 두번 바삭”···뿌링클 잇는 히트템 bhc ‘콰삭킹’[맛보니]
  • 국산 AAA 타이틀의 가능성 보여준 소울라이크 게임 ‘퍼스트 버서커:카잔’ [딥인더게임]
  • 주말 어디 갈까…봄날 테마파크 콘텐츠도 풍성[주말엔]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090,000
    • -1.87%
    • 이더리움
    • 2,791,000
    • -1.76%
    • 비트코인 캐시
    • 455,200
    • -1.45%
    • 리플
    • 3,115
    • -5.72%
    • 솔라나
    • 188,300
    • -3.24%
    • 에이다
    • 1,007
    • -3.08%
    • 이오스
    • 827
    • -3.61%
    • 트론
    • 350
    • +2.34%
    • 스텔라루멘
    • 398
    • -2.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100
    • -3.18%
    • 체인링크
    • 20,640
    • -2.82%
    • 샌드박스
    • 410
    • -3.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