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너머] 실손보험, 신뢰의 시험대 앞에서

입력 2024-10-21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손가락에 두꺼운 붕대를 친친 감고 나타난 한 지인이 병원에서 있었던 이야길 들려줬다. “15년 전 새끼발가락을 다쳤을 때는 수술비가 20만 원이었는데 최근 약지 수술에는 220만 원이 들었다”면서 “그동안 의료기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해야 할 검사가 10가지는 넘었다”라며 의아해했다.

핀을 박는 수술이라는 점은 같았는데, 이번에는 엑스레이는 물론 CT, 피검사, 소변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까지 진행했다. 수술 때는 손 마취와 수면 마취까지 받아야 했다고 한다. 단 몇 가지 검사와 수술만으로 멀쩡해진 발가락이 무색하게, 손가락은 지나친 ‘호사’를 누린 셈이다.

건강이 걸린 문제니 어떤 검사가 꼭 필요한지 판단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정보의 비대칭 속에서 소비자는 ‘의사의 입’에 따르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이달 25일 실손보험은 시험대에 오른다. 바로 실손의료보험금 청구 간소화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보험금을 청구할 때 각종 서류가 자동으로 보험사에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업계는 이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편의를 제고하는 것은 물론, 비급여 청구 데이터가 대거 축적되면 이를 바탕으로 과잉진료를 억제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하지만 보험금 청구가 간소화된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보험사가 집적된 정보를 통해 보험금 지급을 과도하게 거부하거나, 보험료 인상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 제도를 통해 보험업계는 정보 악용, 의료계는 과잉진료, 소비자는 보험사기에 대한 각자의 양심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 보험사 고위 관계자는 “보험산업은 선량한 소비자들이 더 많을 것이라고 믿고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소비자도 마찬가지다. 내 건강을 인질로 필요 이상의 진료를 하는 의사가 없기를, 내 의료정보를 두고 악용하는 보험사가 없기를 바랄 뿐이다.

이 제도가 보험업계와 의료계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길 기대해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852,000
    • -1.5%
    • 이더리움
    • 2,750,000
    • -3.31%
    • 비트코인 캐시
    • 447,400
    • -2.99%
    • 리플
    • 3,075
    • -3.57%
    • 솔라나
    • 183,500
    • -2.29%
    • 에이다
    • 986
    • -2.47%
    • 이오스
    • 1,218
    • +19.76%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92
    • -2.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390
    • -3.15%
    • 체인링크
    • 19,880
    • -5.65%
    • 샌드박스
    • 396
    • -3.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