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통, 20~30대 고소득층 여성에 많다

입력 2009-07-20 14: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복통 원인 바로 알고 관리해야

감기와 두통 다음으로 일반인들이 자주 겪는 복통이 20~30대 고소득층 여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링거인겔하임이 한국인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3.5%가 1년에 한번 이상 복통·북부불쾌감·복부경련을 경험하고, 대체로 수도권 지역·여성·30대·고소득층에서 복통을 자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25.1%) 경기ㆍ인천(28.9%) 부산ㆍ울산ㆍ경남(14.2%) 광주ㆍ전라(10.1%) 대전ㆍ충청 (9.9%) 대구ㆍ경북(9.2%) 강원(2.5%) 순으로,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복통을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59.3%)이 남성(40.7%)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통을 자주 겪었으며, 연령대별로는 20대(28.7%), 30대(28.5%), 40대(25.7%), 50대(15.2%) 순으로 큰 차이는 없었지만, 20-30대가 다소 높은 수치의 결과를 보였다.

소득별로는 월 급여가 ▲400만원 이상(38.9%) ▲300만원 이상(25.1%) ▲200만원 이상(21.6%) ▲199만원 이하(14.5%) 순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복통이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복통의 원인에 대해서는 53.8%가 '장이나 위에 문제가 있어서'라고 응답한 데 비해 '경련성 복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4.6%에 불과해 증상의 원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반영하듯 복통이 생겼을 때 주로 '마시는 소화제'(41.1%)'나 '진통제'(30.9%)'를 복용한다고 말했다.

순천향대학교 소화기내과 이문성 교수는 “복부의 내장기관은 외부적인 영향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음식으로 인해 탈이 날 수도 있지만,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적 요소에도 쉽게 반응한다”며, “도시생활자, 그리고 사회생활을 왕성하게 하는 연령대는 상대적으로 긴장, 신경과민과 같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식습관도 불규칙하기 쉬워 복통을 더 자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뒤틀리고 찌르고 조이는 듯한 경련성 복통의 경우, 말 그대로 비정상적인 경련을 다스리는 것이 중요한데, 이 경우 사용하는 약물이 ‘진경제’ 다. 물론 소화제, 진통제 등으로 증상을 경감할 수는 있겠지만, 경련성 복통의 근본적인 기전을 해결하는 것은 아닌 만큼 약물 복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트럼프 2기 한 달] 글로벌 경제, 무역전쟁 재점화에 ‘불확실성 늪’으로
  • 집안 싸움 정리한 한미약품, ‘R&D 명가’ 명성 되찾을까
  • 활기 살아나는 국내 증시…동학개미 '빚투'도 늘었다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MRO부터 신조까지…K조선, ‘108조’ 美함정 시장 출격 대기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799,000
    • +0.74%
    • 이더리움
    • 4,053,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479,300
    • +1.03%
    • 리플
    • 3,993
    • +5.08%
    • 솔라나
    • 255,400
    • +1.79%
    • 에이다
    • 1,159
    • +3.3%
    • 이오스
    • 957
    • +4.36%
    • 트론
    • 354
    • -2.75%
    • 스텔라루멘
    • 506
    • +2.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900
    • +1.34%
    • 체인링크
    • 26,960
    • +1.43%
    • 샌드박스
    • 550
    • +2.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