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대만 TSMC, 미국 공장서 최첨단 4나노 칩 첫 생산

입력 2025-01-13 08: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 상무부 “대만과 같은 수율ㆍ품질”
파운드리 상용기술 가운데 가장 진보
바이든 행정부 반도체 정책의 이정표

▲대만 TSMC가 미국 아리조나에 자리한 세운 반도체 공장의 모습. 지난해 연말부터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4나노 칩을 생산 중이다.  (사진제공 TSMC뉴스룸)
▲대만 TSMC가 미국 아리조나에 자리한 세운 반도체 공장의 모습. 지난해 연말부터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4나노 칩을 생산 중이다. (사진제공 TSMC뉴스룸)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가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최첨단 4나노미터(nm·1nm=10억 분의 1m) 칩 양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1일(현지시간)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은 로이터통신과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역사상 처음으로, 작년 연말부터 미국 땅에서 4나노 칩이 생산되고 있다”며 “대만과 같은 수준의 수율과 품질”이라고 강조했다.

러몬도 장관은 “이것은 커다란 성과이면서 반도체 산업 활성화를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노는 반도체 회로 선폭에 사용하는 단위다. 반도체 미세화 기술을 상징하는 것으로 같은 면적에 더 많은 회로를 연결할수록 저전력으로 높은 성능을 뽑아낼 수 있다.

현재 가장 앞선 파운드리 상용 기술은 3나노 수준이다. TSMC와 삼성전자가 각각 대만과 한국에서 3나노 제품을 양산 중이다. 미국 공장이 그 바로 밑단계 제품을 양산하는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출범 이후 대대적인 보조금 정책을 앞세워 미국 내 반도체 공장 확대를 추진했다. 지난해 11월 TSMC를 상대로 반도체 설비투자 보조금 66억 달러(약 9조7000억 원)를 확정한 것은 물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각각 64억 달러(약 9조2000억 원)와 4억5800만 달러(약 6600억 원) 지원을 확정했다.

앞서 글로벌 주요 파운드리 업체도 미국 행정부의 설비 지원금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인 설비 확장을 공언하기도 했다. TSMC는 작년 4월 “미국 내 투자 규모를 650억 달러(약 95조8000억 원)로 확대하고, 2030년까지 2나노 공정이 활용될 세 번째 반도체 생산공장을 건설한다”고 공언한 바 있다.

당시 러몬도 장관은 “TSMC의 미국 내 생산설비 확대는 저절로 이뤄진 것이 아니다”라며 “그들이 확장을 추진하도록 우리가 설득해야 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 3200억 인천공항 임대료 부메랑, 현실로…면세업계, 발만 동동[계륵 된 인천공항면세점]
  • “5세대 전환 무조건 손해” 외면하는 1·2세대 가입자들 [5세대 실손이 온다下]
  • 단독 대학 논술시험때 '지정좌석제' 도입...'연세대 문제 유출' 재발 방지
  • 저출산 극복, 이제는 ‘속도전’ [저출산 극복, 마지막 기회]
  • 소년공이 온다 [데스크 시각]
  • 몸집 불리기 나선 항공업계… 여객기 늘리고, 정비인력 확충
  • 올해 연구개발 성과 뽐낼 K바이오는 누구?
  • 7년 만에 나오는 신형 넥쏘… 수소차 시장 활기 띨까
  • 오늘의 상승종목

  • 01.13 11: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1,684,000
    • +0.1%
    • 이더리움
    • 4,899,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665,500
    • +0.83%
    • 리플
    • 3,785
    • -0.37%
    • 솔라나
    • 280,700
    • +0.07%
    • 에이다
    • 1,443
    • -5.5%
    • 이오스
    • 1,177
    • -2.65%
    • 트론
    • 348
    • -3.6%
    • 스텔라루멘
    • 637
    • -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50
    • +1.85%
    • 체인링크
    • 29,570
    • -2.18%
    • 샌드박스
    • 866
    • -3.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