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까지 5년 동안 121개 지점 문 닫아
감소율 5대 은행의 1.2배↑…지역금융 성장 방해
최근 5년 새 지방은행 비수도권 지점이 100곳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점 폐쇄 속도만 놓고 보면 지방은행이 5대 주요 은행보다 빨랐다. 비수도권 지역의 인구 고령화 문제가 수도권보다 더 심각한 만큼 지방 지점 감소로 인한 금융소외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5년 사이 지방은행(부산·경남·전북·광주·제주은행·iM뱅크) 비수도권 지점이 2019년 9월 말 683곳에서 지난해 9월 말 562곳으로 121곳 줄었다. 같은 기간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1403곳에서 1196곳으로 207곳 감소했다. 전체 지점 수가 5대 은행(3231곳)이 지방은행(620곳)의 5.2배가량 많은 탓에 감소 지점 수 자체는 5대 은행이 많았다.
하지만 폐쇄율을 보면 5년간 지방은행이 –17.7%, 5대 은행이 –14.8%로, 지방은행이 5대 은행보다 약 1.2배 더 컸다. 같은 기간 지방은행이 5대 은행보다 비수도권 지점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줄인 셈이다. 지방은행은 지점 10곳 중 9곳(91%)을 비수도권에 두고 있지만, 5대 은행은 10곳 중 4곳가량(37%)의 지점만 서울·경기·인천 외 지역에 두고 있다.
지방은행별로 보면 경남은행이 5년간 41곳을 폐쇄하면서 비수도권 지점 문을 가장 많이 닫았다. 대구은행 35곳, 부산은행 29곳, 전북은행 15곳 순서로 지점을 줄였다. 제주은행은 1곳만 줄었다.2019년 103곳에서 2021년 111곳으로 늘었던 광주은행(103곳)은 원위치 됐다.
문제는 지방은행이 지점을 줄인 비수도권 지역의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지방은행 본점이 위치한 비수도권 지역 6곳 중 제주와 광주를 제외한 지역은 모두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었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이어 △전북(25.23%) △부산(23.87%) △경남(21.79%) △대구(20.84%) △제주(18.92%) △광주(17.51%) 순이었다. 무엇보다 지역 금융서비스 불균형 해소라는 지방은행 설립 취지와 맞지 않다.
이시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국내은행 점포 분포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고령화 수준이 높은 비수도권 중소도시나 군 단위 지역일수록 은행 점포에 대한 물리적 접근성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며 “디지털화에 가장 취약한 계층인 고령층을 중심으로 금융소외 심화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