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1%대 상승... 2480선으로 마감 [포토]

입력 2025-02-04 16: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코스닥 지수는 16.12포인트 상승한 719.92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62.40원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코스닥 지수는 16.12포인트 상승한 719.92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62.40원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코스닥 지수는 16.12포인트 상승한 719.92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60.80원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코스닥 지수는 16.12포인트 상승한 719.92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60.80원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62.30원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62.30원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코스닥 지수는 16.12포인트 상승한 719.92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62.20원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코스닥 지수는 16.12포인트 상승한 719.92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62.20원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코스피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4일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1.13%)포인트 상승한 2481.69를 코스닥 지수는 16.12포인트 상승한 719.92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62.40원을 나타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힘입어 개장 직후 2500선을 회복했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갈등이 가시화되면서 상승폭을 줄였다. 조현호 기자 hyunho@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젠 자유로운 부동산 파티?!"…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왜? [왁자집껄]
  • 중세의 낭만은 빼고 현실감은 가득 채운 오픈 월드 RPG ‘킹덤컴:딜리버런스2’ [딥인더게임]
  • '나솔' 24기 영식, "나는 옥순바라기"…역대급 돌진에 시청자도 경악 "레전드"
  • 尹측 "중대 결심" 마지막 변론서 재판부에 경고…尹 직접 신문은 제지
  • 대만 타이중시 신광미츠코시 백화점 폭발 사고 현장 모습
  • 비트코인, 미 증시 하락에도 상승…"ETF 승인 기대감 유효" [Bit코인]
  • "장원영 조문 요청, 강요 아닌 부탁…아빠의 마음이었다"
  • 모두 지드래곤이 되면 좋겠지만…아이돌이 론칭한 브랜드, 결말은? [솔드아웃]
  • 오늘의 상승종목

  • 02.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276,000
    • +0.8%
    • 이더리움
    • 4,009,000
    • +2.53%
    • 비트코인 캐시
    • 499,100
    • +1.3%
    • 리플
    • 3,697
    • +3.12%
    • 솔라나
    • 288,300
    • -0.31%
    • 에이다
    • 1,177
    • +1.29%
    • 이오스
    • 966
    • +1.47%
    • 트론
    • 357
    • -2.46%
    • 스텔라루멘
    • 494
    • +4.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100
    • +1.03%
    • 체인링크
    • 27,800
    • +2.43%
    • 샌드박스
    • 589
    • +3.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