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3135640_2136370_1105_293.png)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설계자산(IP)을 개발 및 판매하는 기업 오픈엣지테크놀로지가 유수의 칩 설계 기업(팹리스)과 IP 라이선스 계약 체결을 목전에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딥시크가 몰고 온 ‘저비용 고효율’ 인공지능(AI) 트렌드로 그동안 준비해 온 저전력 더블데이터레이트(LPDDR) 수요에 따른 대응도 이미 마쳤다.
13일 오픈엣지테크놀로지 관계자는 “이른 시일 내 자체 팹리스 다수와 IP 라이선스 계약 체결할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현재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해외에서는 마이크론 등의 트랙레코드를 확보해놓은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안에 추가로 일본, 중국, 미국 등에서 유의미한 트랙레코드 확보 사례가 나올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관련 뉴스
자체 칩 설계는 전 세계 빅테크 기업의 트렌드로 메타, 오픈AI, 애플 등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메타가 자체 AI 칩 개발을 위해 한국의 스타트업 인수를 논의하고 있다는 뉴스가 보도되기도 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 관계자는 “전체 칩 사용량은 똑같아도 프로젝트가 많아지면 그만큼 개발 건수가 많아지는 것”이라며 “IP 기업 입장에서는 프로젝트가 많을수록 IP를 제공할 수 있는 바운더리가 넓어지기 때문에 늘어난 개발 건수에 비례하는 라이선스 칩 수수료 이득을 기대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또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딥시크가 몰고 온 ‘저비용 고효율’ AI 트렌드의 수혜도 기대할 수 있다.
이 관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보다 상대적으로 저사양인 칩에서 AI 구현이 가능하다는 컨센서스가 형성되면서 LPDDR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당사는 최근 2~3년간 HBM보다 LPDDR 계열 IP를 더 많이 준비했기 때문에 수요 증가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AI 시장이 학습에서 추론 시장으로 확산하며 속도 8.5Gbps(초당 기가비트) 이상의 하이엔드 LPDDR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최선단 노드를 확보하지 못한 AI, 자율주행, 디바이스 고객사가 추론용 주문형 반도체(ASIC)를 생산함에 따라 오픈엣지테크놀로지의 수혜가 극대화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