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후] 건설 경기 회복 지원 하루라도 서둘러야

입력 2025-02-13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건설업계에 '먹구름'이 가득하다. 위기를 넘어설 마땅한 돌파구는 보이지 않는데 악재만 쌓이는 모양새다.

대형 건설사들은 크게 뒷걸음질 친 지난해 성적표를 내놨다. 국내 대표 건설사로 꼽히는 현대건설은 지난해 1조2000억 원이 넘는 영업적자를 냈다. 현대건설이 영업적자를 낸 것은 23년 만이다. 규모는 창사 이래 가장 크다.

대우건설은 영업이익이 40% 가까이 줄었고 DL이앤씨는 18%가량 축소됐다. 영업이익이 3% 정도 줄어든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대형사 중 가장 양호한 성과를 낸 편에 속한다. GS건설은 직전 해에 기록한 적자를 탈출했지만, 영업이익 규모가 예년에 크게 못 미쳤다.

대형사들의 상황 이렇다면 이보다 규모가 작은 중소·중견업체의 사정은 말할 것도 없다. 실제로 문을 닫는 건설업체가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종합건설기업의 폐업신고는 641건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10% 이상 늘어난 동시에 조사를 시작한 2005년 이후 19년 만에 최대치다. 폐업신고는 2021년 305건에서 2022년 362건, 2023년 581건으로 계속 늘고 있다.

건설업계를 가장 괴롭히는 것은 공사비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비지수는 작년 12월 130.18을 기록했다. 2020년보다 30%가량 오른 수치다.

공사비가 고공행진을 하다 보니 수익성이 떨어진다. 손실을 피하려면 사업성이 확실한 공사만 골라서 할 수밖에 없다. 물건을 덜 팔면 벌어들이는 돈이 줄어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돈을 빌리기도 어려워지는 게 당연하다.

공사비는 더 올라갈 것이란 쪽에 무게가 실린다. 계엄사태 이후 치솟은 환율이 자재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데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원자재 수급 불안정·가격 인상 가능성이 있어서다. 공사비가 오르는 만큼 건설업계의 행보는 더욱 소극적이 될 수밖에 없다.

건설투자가 올해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등 건설 경기는 침체 국면에 들어섰다. 건산연은 최근 건설투자가 2022년 하반기 회복국면, 2023년 짧은 호황기, 지난해 상반기 후퇴기를 거쳐 지난해 하반기 본격적인 침체국면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침체 속도가 매우 빠르고 고환율, 트럼프 발 불확실성으로 침체가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도 내놨다.

건설업의 위축은 경제성장을 짓누를 수 있다는 점에서 바라보고만 있을 문제가 아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0%를 기록했는데 건설투자가 2.7% 감소하면서 0.4%포인트 낮췄다. 건설투자는 우리나라 GDP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건설업에 1조 원이 투자되면 1만5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진다.

건설업체가 무더기로 쓰러지면 주택 공급 차질과 이에 따른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주거 안정을 해치는 데까지 이어질 수 있다.

건설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활력을 불어넣을 방안이 서둘러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건설업계 안팎에서는 공사비 현실화와 재개발·재건축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주택 수요 진작을 위한 정책, SOC 추경 예산 편성과 공공 SOC 확대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건설 경기 활성화는 단지 특정 산업을 살리는 데 그치는 게 아니다. 올해 2%에 못 미치고 둔화가 지속될 수 있는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성을 높이는 일이다. 동시에 삶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거 안정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젠 자유로운 부동산 파티?!"…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왜? [왁자집껄]
  • 중세의 낭만은 빼고 현실감은 가득 채운 오픈 월드 RPG ‘킹덤컴:딜리버런스2’ [딥인더게임]
  • '나솔' 24기 영식, "나는 옥순바라기"…역대급 돌진에 시청자도 경악 "레전드"
  • 尹측 "중대 결심" 마지막 변론서 재판부에 경고…尹 직접 신문은 제지
  • 대만 타이중시 신광미츠코시 백화점 폭발 사고 현장 모습
  • 비트코인, 미 증시 하락에도 상승…"ETF 승인 기대감 유효" [Bit코인]
  • "장원영 조문 요청, 강요 아닌 부탁…아빠의 마음이었다"
  • 모두 지드래곤이 되면 좋겠지만…아이돌이 론칭한 브랜드, 결말은? [솔드아웃]
  • 오늘의 상승종목

  • 02.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72,000
    • +0.66%
    • 이더리움
    • 4,032,000
    • +2.05%
    • 비트코인 캐시
    • 504,500
    • +1.47%
    • 리플
    • 3,710
    • +2.01%
    • 솔라나
    • 289,500
    • -1.03%
    • 에이다
    • 1,187
    • +1.11%
    • 이오스
    • 975
    • +0.41%
    • 트론
    • 358
    • -2.45%
    • 스텔라루멘
    • 498
    • +3.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650
    • +1.19%
    • 체인링크
    • 28,050
    • +2.3%
    • 샌드박스
    • 596
    • +3.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