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20250213083642_2136173_1198_409.png)
‘티메프 사태’로 인해 발생한 카카오페이의 일회성 대손상각비를 조정할 시, 연간 영업이익은 5230억 원으로, 전년보다 13.5% 증가하며 영업이익률 또한 6.6%로 상승한다.
별도 기준으로 산정시, 카카오의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2조5951억 원, 영업이익은 4965억 원이다. 전년보다 매출액은 3.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6.9% 감소했다. 카카오브레인 양수도로 인해 지난해 6월부터 반영된 AI 사업 분야의 영업손실을 제외할 경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8% 개선된 5586억 원이 된다.
카카오의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1조9591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3.7% 감소한 1,067억 원으로 일회성 대손상각비를 반영한 조정 영업이익은 1382억 원이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 늘어난 1조491억 원으로 집계됐다.
관련 뉴스
플랫폼 부문 중 톡비즈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5627억 원을 기록했다. 톡비즈 중 비즈보드, 비즈니스 메시지 등의 광고형 매출액은 3212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 늘었다. 선물하기와 톡딜 등 거래형(커머스) 매출액은 241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다. 커머스의 지난해 4분기 통합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2조7000억 원이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4031억 원이며, 다음 등 포털비즈 매출액은 6% 감소한 832억 원으로 집계됐다.
콘텐츠 부문의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9101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3% 감소했다. 이 중 뮤직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6% 감소한 4702억 원이다. 스토리 매출액은 203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 줄었고, 미디어 매출액은 739억 원으로 25% 감소했다. IP 라인업의 공백 심화가 주된 원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