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아이코리아, 누적 수주 650억 돌파…"로봇 등 신규 사업 등 성장 기반"

입력 2025-02-20 09: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제14호스팩과 합병을 추진 중인 에이아이코리아(AI KOREA)가 지난해 12월 기준 누적 수주 잔고가 650억 원을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3분기 기준 400억 원 대비 약 250억 원 늘어난 수치다. 이번 수주 잔고 확대는 ‘스타플러스에너지(StarPlus Energy)’로부터 수주한 대규모 중앙전해액공급시스템(CESS) 및 프로세스 파이핑 구축 프로젝트를 비롯해 ‘얼티엄셀즈(Ultium Cells)’ 등 글로벌 이차전지 기업향 프로젝트들이 늘어난 영향이다.

사업 특성상 매출 인식이 다년간에 걸쳐 진행되는 만큼, 에이아이코리아는 올해에도 안정적인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CESS 및 프로세스 파이핑 사업 부문의 추가 수주와 더불어 올해부터 유지보수 매출 증가, 로봇 등 신규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큰 폭의 실적 확대가 예상된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최근 글로벌 이차전지 기업들의 생산 플랜트가 초대형화됨에 따라 제조설비의 규모도 커지고 있고, 로봇 및 자동화 설비 도입이 가속화되는 추세다. 특히 전해액 관련 설비는 유통 및 유지 관리가 핵심 요소로 작용하는 만큼 글로벌 이차전지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 대상이 되고 있다.

에이아이코리아의 핵심 제품 중 하나인 CESS는 전해액의 유통·저장·주입 등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는 설비다. 국내 배터리 빅3는 물론 글로벌 대형 합작법인들까지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해당 장비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에이아이코리아는 글로벌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구축하며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에이아이코리아 관계자는 “글로벌 이차전지 기업들과 함께 북미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CESS 및 프로세스 파이핑 추가 도입을 위한 협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향후 몇 년간 신규 수주 및 유지보수 계약 확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와 더불어 현재 전략적으로 추진 중인 로봇 사업 역시 빠른 사업 진척 속도를 보인다”며 “유지보수까지 포함한 계약 논의를 진행하고 있어, 수주에 성공할 경우 안정적인 캐시카우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써보니] ‘도널드 트럼프’ 묻자 그록3·딥시크가 한 답변은?
  • 이지아, '친일파 논란' 조부 과오 사과…김순흥은 누구?
  • 제니→육준서 '어리둥절'…그놈의 '중안부'가 뭐길래 [솔드아웃]
  • 백종원, '빽햄 파동' 이겨낼까…등 돌린 여론 뒤집을 비장의 수는? [이슈크래커]
  • "용왕이 점지한 사람만"…전설의 심해어 '돗돔'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비트코인, 금리 인하 가능성에 깜짝 상승…9만8000달러 터치 [Bit코인]
  • 안전자산에 '뭉칫돈'…요구불예금 회전율 5년 만에 최고
  • 그래미상 싹쓸이한 켄드릭 라마…'외힙 원탑'의 클래식카 컬렉션 [셀럽의카]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06,000
    • +0.64%
    • 이더리움
    • 4,123,000
    • +1.35%
    • 비트코인 캐시
    • 485,100
    • +1.23%
    • 리플
    • 3,911
    • -2%
    • 솔라나
    • 261,500
    • +1.16%
    • 에이다
    • 1,179
    • +0.68%
    • 이오스
    • 965
    • +1.47%
    • 트론
    • 366
    • +2.81%
    • 스텔라루멘
    • 500
    • -1.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050
    • +0.09%
    • 체인링크
    • 27,520
    • +2%
    • 샌드박스
    • 570
    • +3.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