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CDMO 춘추전국 시대…각국의 전략은?

입력 2025-02-21 15: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픈AI 달리)
(오픈AI 달리)

전 세계적으로 위탁개발생산(CDMO)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생물보안법 영향으로 글로벌 CDMO가 춘추전국 시대다. 기존 중국의 빈자리를 한국, 일본, 인도 등이 차지하기 위해 전략을 펼치고 있다.

21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국가 차원에서 CDMO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와 지원이 활발하다. 중국을 견제하는 생물보안법 영향으로 미국 제약사들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새로운 CDMO 기업을 물색하고 있다. 세포‧유전자치료제(CGT),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새로운 모달리티(치료적 접근법)의 등장도 이를 가속했다.

일본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 바이오 분야를 선정하며 공격적인 정책을 펴고 있다. 작년 5월 의약품 산업을 주요 산업으로 육성한다고 밝히면서 CDMO 지원 강화로 국제 수준의 CDMO를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해외거점과 제휴를 강화해 자국 내 CDMO 설비 발전이 목표다.

일본의 주요 CDMO 기업은 다른 업종에서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사업을 CDMO로 확장하고 있다. 후지필름, AGC 바이오로직스 등이 대표적이다.

인도는 정부의 탄탄한 지원 아래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인도 중앙정부는 바이오산업을 세계 주요 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국내 의약품 자급률을 높이고자 생산연계 인센티브 제도를 시행했다. 제약에 배정된 생산연계 인센티브 예산은 전자제품과 자동차에 이어 세 번째로 규모가 크다. 특히 인도 제약 산업 제조 역량 강화를 목표로 2028~2029년까지 의약품에 총 18억 달러(약 2조5000억 원)의 예산을 배정할 계획이다.

인도 CDMO 기업은 정부의 투자를 바탕으로 항체, 백신, 바이러스 벡터 등의 생산시설을 추가 구축하고 제조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CDMO 진출을 위해 상업적 제조시설을 보유한 기업 인수도 활발하다.

우리나라 역시 작년 10월 열린 국정감사에서 CDMO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당시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생물보안법이 통과되면서 우리나라 의약품 CMDO 산업의 글로벌 진출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후 3개월 후인 지난달 국내 바이오의약품 CDMO 기업 지원 법안이 발의됐다. 이 법안은 바이오의약품 CDMO 기업을 지원하는 법적 체계를 구축해 공급망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마련이 골자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제조업자, 의약품제조업자, 바이오의약품 원료물질을 생산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사항, 원료의약품‧바이오의약품 원료물질에 대한 수입절차 특례 근거 마련, 전문인력 양성 등이 법안의 주요 내용이다.

그러나 일본, 인도와 비교하면 세액감면, 시설투자 등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이 부족하다는 의견이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생물보안법에 따라 중국 CDMO 기업이 배제될 경우 국내 기업이 단기적으로 수혜받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 역량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예상한다”면서 “미국과 중국이 바이오 패권 전쟁에서 기회를 선점하고 경쟁력을 얻기 위해서는 국가적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애플, 미국으로 공장 이전할 것…수억 달러 미국 투자도”
  • 한화가 기다리고 있는 LCK컵 결승, 최종 승리 팀은 어디가 될까? [딥인더게임]
  • [투자전략] 이제는 금보다 은?…ETF로 투자해볼까
  • 애니메이션으로 돌아오는 퇴마록…이우혁 표 오컬트 판타지 [시네마천국]
  • "양산서 미나리 맛보세요"…남이섬ㆍ쁘띠 프랑스에선 마지막 겨울 파티 [주말N축제]
  • 점점 치열해지는 글로벌 빅테크 '양자' 경쟁
  • ‘무신사 장학생’ 데뷔 팝업…차세대 K패션 브랜드 ‘시선 집중’ [가보니]
  • ‘싱글몰트 위스키 대명사’ 글렌피딕 제대로 즐기는 방법은? [맛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431,000
    • -1.77%
    • 이더리움
    • 3,961,000
    • -2.13%
    • 비트코인 캐시
    • 467,400
    • -2.69%
    • 리플
    • 3,798
    • -3.31%
    • 솔라나
    • 252,600
    • -1.56%
    • 에이다
    • 1,132
    • -4.55%
    • 이오스
    • 920
    • -2.75%
    • 트론
    • 353
    • -4.08%
    • 스텔라루멘
    • 484
    • -3.3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200
    • -4.16%
    • 체인링크
    • 25,790
    • -3.41%
    • 샌드박스
    • 519
    • -4.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