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과의 생산 협력 여부에 이목 집중
GM 공장 활용해 현지 생산 확대 기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현대차그룹의 위기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난해 제너럴모터스(GM)와 맺었던 포괄적 협력 업무협약(MOU)이 묘수로 떠오르고 있다. GM의 미국 공장을 활용해 현지 생산을 늘린다면 관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만큼 조만간 나올 구체적 협력 방안에 관심이 쏠린다.
23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GM은 MOU 체결 이후 다방면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다. 현대차는 올해 1분기 안에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확정하고 최종 계약서에 서명을 완료할 방침이다.
현대차와 GM은 지난해 9월 승용·상용차, 내연기관, 친환경 에너지, 전기 및 수소 기술의 공동 개발 및 생산을 골자로 하는 포괄적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GM과 협력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현지 기업과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면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서다.
특히 GM과의 생산 협력 여부에 이목이 집중된다. GM은 미국 내에 11개의 생산 시설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활용해 현지 생산을 늘린다면 관세 부과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 뉴스
GM은 지난해 기준 미국 내 연간 220만 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작년 실제 생산 대수는 172만 대로 약 50만 대의 생산능력에 여유가 있는 상황이다. 만약 현대차가 GM의 유휴 설비를 활용할 수 있다면 새로운 공장 건설 없이도 현지 생산 물량을 대폭 확대할 수 있다.
관세가 현실화하면 현대차그룹의 미국 생산능력 확대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170만 대를 판매했는데, 이 가운데 111만 대는 한국과 멕시코 등에서 수출한 물량이다. 현지 생산 확대를 위해 당장 신규 공장을 건설을 시작한다 해도 최소 3~4년이 필요하다.
현대차는 우선 증설 카드를 검토하고 있다. 현대차 앨라배마공장(연 36만 대), 기아 조지아(연 34만 대)에 조지아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능력을 최대 50만 대로 끌어올린다면 120만 대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생산능력을 최대로 끌어올려도 약 50만 대는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 수밖에 없다. GM의 유휴 설비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는 이유다.
다만 GM 역시 관세 부과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미국 생산을 늘릴 가능성이 크므로 현대차가 GM의 유휴 설비를 활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GM은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약 30%를 멕시코에서 생산하고 있는데, 지난달부터 일부 멕시코 생산 물량을 미국으로 이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폴 제이콥슨 GM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최근 “관세 부과가 장기화하면 공장 이전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강성진 KB 증권 연구원은 “GM과의 생산 협력이 가능하다면 현대차는 GM에 일부 마진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이나 차량 가격의 10%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이는 관세를 부담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관세 부과를 피해갈 수 있는 좋은 방안이지만 GM에 충분한 유휴 생산능력이 있는지는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