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6%, 3년 내 폐업 고려
올해 매출·순이익도 6.5%, 7.2% 감소 전망
“금융지원 등 소상공인 숨통 틔울 정책 마련해야”

고금리 등으로 가계 소비가 위축되면서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은 지난해 매출과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72.6%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감소했다고 답했다. 순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율도 72.0%에 달했다. 매출과 순이익 감소 폭은 평균 12.8%, 13.3%로 각각 집계됐다.
올해 매출과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비율은 각각 61.2%, 62.2%로 조사됐다. 자영업자들이 예상하는 매출 감소 폭은 6.5%, 순이익은 7.2%였다.
가장 큰 부담이 되는 경영 비용 항목은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나타났다.
또 자영업자의 43.6%는 향후 3년 내 폐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8.1%) △임차료, 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이 지목됐다.
올해도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34.9%) △원부재료 매입비 부담(24.0%) △임차료, 세금, 수수료 부담(12.3%), △대출 상환 및 금리 부담(11.6%) △최저임금 등 인건비 부담(9.1%) 등의 요인이 경영상 어려움을 더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영업자들은 필요한 정부 대책으로 △대출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조사에 따르면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 금액은 지난해 기준 1억2000만 원, 월 이자 부담액은 84만3000원으로 집계돼 연평균 8.4%의 금리 부담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한국은행 통계상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연 4.7%이고 소액대출 금리가 연 6.9%인 점을 감안하면 상당수 자영업자가 은행 대출 외에 제2금융권(비은행 금융기관) 등에서도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자영업자들은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원부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화(14.0%) △임대료 지원 강화(11.7%)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0.5%)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 구조로 가계의 소비 펀더멘털이 악화되고 내수가 얼어붙어 수많은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며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서민경제의 위기가 심화될 수 있어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원부자재 가격 안정과 소비 촉진 방안을 강화해 소상공인들의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