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2년6개월來 ‘2% 시대’ 맞아

입력 2025-02-25 09: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투데이DB)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투데이DB)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하며 2.75%로 결정했다. 작년 10·11월 2회 연속 이후 3개월 만에 추가 인하를 택했다. 기준금리가 2%대로 내려앉은 것은 2022년 8월(2.50%) 이후 2년 6개월 만이다.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금통위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메시지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을 확인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중립금리를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인하 사이클이 종료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트럼프는 4월 2일 자동차와 반도체 관련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는데 한은이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확인하고 대응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인식도 형성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1월 금통위에서 3.0%의 기준금리는 대외와 금융안정을 고려했을 경우 중립금리 상단이라고 언급했다”면서 “2.75%의 기준금리가 더 이상 긴축적이지 않거나 혹은 중립금리 상단보다 아래라는 명확한 시그널을 보낼 경우 2분기 이후 추가 인하를 고려하면서도 실질적으로 인하 사이클이 종료된 것으로 인식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한 것도 고려했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원유승 SK증권 연구원은 “경제 전망 내 성장 전망치의 1.6% 하회 여부, 총재 기자회견 내 추경 규모·시기·방법론에 대한 의견, 추가 인하에 대한 시그널 등 세부 내용에 있다”며 “전반적으로 인하 결정 대비 매파적 스탠스가 예상되며 한은은 추경이 집행된 이후의 정책적 공간을 확보하고자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은행 지점 찾기 어렵네”…ATM 수도 ‘뚝’ [용두사미 대체점포]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가발 쓴 탈덕수용소ㆍ신상 털린 뻑가…'사이버 렉카', 몰락은 이제 시작? [이슈크래커]
  • 무시하지 말라던 ‘추성훈 아조씨’의 유튜브 떡상기 [요즘, 이거]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움츠렸던 삼성 '엑시노스' 재시동… 폴더블폰 첫 탑재
  • 美장 하락에…저가 매수 나선 '서학개미'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13: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850,000
    • -3.71%
    • 이더리움
    • 3,620,000
    • -8.15%
    • 비트코인 캐시
    • 422,600
    • -8.31%
    • 리플
    • 3,303
    • -7.94%
    • 솔라나
    • 201,600
    • -12.27%
    • 에이다
    • 988
    • -7.23%
    • 이오스
    • 813
    • -9.26%
    • 트론
    • 353
    • +0%
    • 스텔라루멘
    • 432
    • -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500
    • -6.6%
    • 체인링크
    • 21,900
    • -9.24%
    • 샌드박스
    • 431
    • -10.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