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무비·K드라마 꾸준한 언급…'오징어 게임' 시즌2 화제
2만7000여 명 방문한 코리아 하우스, 글로벌 홍보 역할

세계인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인 한국 문화는 K팝이었다. 대다수 대륙에서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 활동에 대한 보도가 활발히 이뤄졌다. 반면에 북미 대륙에서는 김치, 불닭볶음면 등 K푸드에 대한 관심이 제일 높았다.
25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4년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50.6%), 유럽(27.5%), 북미(13.6%) 순으로 한류 관련 기사가 많이 보도됐다. 문체부가 한국문화정보원과 함께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외신 기사와 누리소통망에서 한류 관련 자료 68만 건을 수집‧분석한 결과다.
아시아, 유럽, 중남미 대륙에서는 K팝 콘텐츠 관련 비중이 가장 높았다. 북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서는 K푸드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K팝 관련 보도는 BTS와 블랙핑크, 뉴진스를 중심으로 한국 가수(트와이스, NCT127, 슈퍼주니어, 뱀뱀, 베이비 몬스터, 아일릿)들의 콘서트와 월드투어에 대한 보도가 주를 이뤘다. BTS 멤버들의 입대 관련 보도를 포함해 루카와 아사의 랩 파트, 뮤직비디오 완성도 등에 대한 세부적인 보도도 이어졌다. 뉴진스와 하이브 간의 대립도 비중 있게 다뤄졌다.
관련 뉴스
K푸드는 김치, 소주, 치킨, 비빔밥, 불닭볶음면 등이 주요 키워드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김치는 15%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김치의 효능과 김치의 날 행사 등의 이슈로 꾸준히 언급됐다. 불닭볶음면이 지나치게 매워 덴마크에서 판매가 금지된 사실이 다양한 국가에서 보도되기도 했다.
특히 먹방(Mukbang)은 매 분기 외신이나 SNS 등을 통해 꾸준히 언급됐는데, 한식을 먹지 않더라도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단어로 자리 잡았다.

K무비와 관련한 외신 보도도 많았다. 칸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은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꾸준한 언급량을 보였다. 이 밖에도 장재현 감독의 '파묘' 흥행, '범죄도시4', '콘크리트 유토피아', 부산국제영화제 개최, 이선균 등과 관련한 보도가 이어졌다.
또 '황야', '파일럿', '리볼버' 등의 영화들과 함께 마동석, 조정석, 지창욱 등 배우들에 대한 기대와 응원을 보내는 반응이 SNS를 중심으로 퍼졌다.
K드라마의 주요 키워드는 '오징어 게임', '눈물의 여왕', '바하르'였다. 특히 '오징어 게임' 시즌2는 매 분기 꾸준히 언급됐다. 이 외에도 '몸값', '더 에이트쇼', '경성 크리처', '마이 데몬', '선재 업고 튀어', '살인자ㅇ난감' 등의 드라마가 주요 보도 내용으로 다뤄졌다.
지난해 열린 '2024 파리 올림픽'과 함께 각종 아티스트, 한국 콘텐츠 등이 언급되기도 했다. 특히 BTS 진이 성화봉송 주자로 선정됐다는 소식이 가장 비중 있게 다뤄졌다.
코리아 하우스 내 CJ존에서 글로벌 인기를 얻은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와 예능 '서진이네'의 포스터가 전시됐다는 보도도 눈길을 끌었다. 역대 최대 규모로 마련된 코리아 하우스는 올림픽 기간 파리를 찾은 세계인들에게 K콘텐츠를 알리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기능했다. 올림픽 기간에만 2만7000여 명이 방문했다.
문체부 채수희 해외홍보정책관은 "해외 자료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은 문체부의 해외 미디어 분석 역량이 집약된 것"이라며 "국가별, 대륙별 맞춤형 한류 정책 전략과 사업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자료를 적기에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