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 “소득대체율 1%p 차이가 310조”
26일 오전 의장 주재 여야 원대 회동
자동조정장치·소득대체율 입장차 커

더불어민주당이 연금개혁안 단독 처리를 시사하며 압박에 나서자 국민의힘은 24일 20·30 청년들을 국회로 불러 모아 반격에 나섰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청년단체와 연금개혁 간담회를 열어 “단순히 소득대체율을 얼마로 올리냐, 42%·44% 같은 지엽적 논의가 아니라 청년세대가 최대한 많이, 최대한 오래 혜택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 종합적 구조개혁이 이뤄져야 한다”며 “20·30 청년의 생각과 관점이 반영된 연금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권 원내대표를 비롯해 김상훈 정책위의장, 박수영 당 연금개혁특위 위원장, 김미애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등이 참석했다. 청년단체에선 서강대 경제학과 석사 과정 재학 중인 민동환 연구원, 김상종·손영광 연금개혁청년행동 공동대표 등이 자리해 발제를 맡았다.
민동환 연구원은 “소득대체율을 50%로 올리면은 미래세대가 감당해야 할 부채는 386조 원이 추가되고, 45%로 인상하면 총 544조 원이 추가된다”라면서 “소득대체율을 1% 인상할 때마다 미래 대가 감당해야 할 부채는 약 310조 원씩 증가한다”고 말했다.
손영광 연금개혁청년행동 공동대표는 “소득보장론은 빚이 많은데도 앞으로 자녀 세대 빚을 더 늘리더라도 어쨌거나 연금 증액을 하자는 입장”이라며 “미래에 대한 대책이 없는데, 사회주의자나 공산주의를 찬동하는 교수와 전문가들이 거기(소득보장론)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을 향해 “명확하게 우리는 부채를 더 이상 늘릴 수 없다. 40%를 유지해야 한다는 명확한 입장을 유지해주고, 20·30 세대를 위해 헌신해주셨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같은 단체의 김상종 공동대표도 “진정한 연금개혁을 지금 하지 않는다면 미래에는 국민연금이 자녀 세대 중 일부 성공한 사람들에게 부과하는 세금 항목 중 하나로 추가될 것”이라며 “재정건전성에는 무관심하고 이데올로기를 앞세우는 소득보장론은 연금개혁안으로 고려돼선 안 된다”고 했다.
이날 비공개 간담회에서 일부 청년들은 소득대체율 45%를 수용할 수 없으며, 그렇게 된다면 헌법소원을 제기하겠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요구에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청년세대의 부담이 작지 않다. (소득대체율) 1%, 2%가 작은 게 아니다”라며 호응했다.
여야는 26일 오전 국회의장 주재의 원내대표 회동에서 연금개혁안을 두고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이들은 보험료율(내는 돈)을 현행 9%에서 13%로 올리는 데 합의했지만, 자동조정장치와 소득대체율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자동조정장치는 가입자 수, 기대수명 등 인구 변화에 따라 연금액을 조정해 기금 소진 시점을 미루는 장치다. 정부·여당은 재정건전성을 이유로 도입을 주장하지만, 야당은 소득보장성 악화를 우려해 반대한다. 이에 국민의힘은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전제로 소득대체율 43~44%를 주장하는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자동조정장치 도입은 추후로 미룬 채 44~45%를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최종 합의까지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자동조정장치는 한마디로 ‘연금 자동삭감 장치’로 민주당은 일관되게 여기에는 반대를 해 왔다”며 “자꾸 이런저런 조건을 걸지 말고 모수개혁부터 합의하자”고 주장했다. 하지만 당 보건복지위 간사인 김미애 의원은 “자동조정장치도 도입하지 않은 채 소득대체율을 인상하겠다는 건 개혁이 아니라 개악”이라고 반대했다. 설령 민주당이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수용하더라도 인구감소율, 기대연령증가율 등 다양한 변수를 포함할 수 있어 세부 조건을 두고서 여야 간 샅바싸움이 벌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