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액면세제 개편 만지작…C커머스, 한국서 판 더 키우나

입력 2025-03-24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대미 수출 ‘우회경로’ 한국 활용…미국 제재 대상 우려도

▲알리익스프레스·테무 연간 결제추정금액 추이 (사진제공=와이즈앱·리테일·굿즈)
▲알리익스프레스·테무 연간 결제추정금액 추이 (사진제공=와이즈앱·리테일·굿즈)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중국·캐나다·멕시코 등 수입품 소액 면세제 폐지 가능성에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중국계 이커머스(C커머스) 업체들이 한국 시장 진출을 확대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무역·통상 업계에 따르면 미 백악관은 지난달 중국·캐나다·멕시코 수입품에 대한 면세 조치를 의미하는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를 폐지하기로 발표했다가 일단 유지하기로 했다. 소액 면세제는 따라 개인이 사용하기 위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제도다.

이를 통해 미국으로 유입되는 소포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 기준 연간 646억 달러에 달달한다. 이 가운데 중국산 제품은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미중 간 무역적자가 심화하면서 소액 면세 제도를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에 트럼프 2기 행정부 임기 내 제도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업계는 C커머스가 미국 시장을 대체하기 위해 한국 시장으로의 진출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본다. 월간 사용자 기준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순위는 올 1월 기준 쿠팡, 알리, 테무 순이다. 2023년 쿠팡, 11번가, G마켓 순인 것과 대조적이다.

일각에서는 C커머스가 대미 수출을 위한 우회 경로로 한국을 택한다면 한국 역시 미국의 수입 제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미국은 중국의 우회 수출 조사를 강화할 필요성을 이미 인지하고 있다”며 “한국발 제품 조사가 엄격해지면 배송 지연, 규제 준수 비용, 무역 갈등 등 문제에 노출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BYD 이어 지커까지…중국車 한국 공습 '파상공세'
  • 편의점서 즐기는 축구·야구…팬심 저격에 판매량 ‘쑥’
  • 돌아온 봄의 전령 ‘벚꽃’…우리 자치구에서 즐겨볼까?
  • 백종원, 주주총회 사과 후 달려간 곳…안동서 무료 식사 제공 "두고볼 수 없어"
  • 바둑판 위에서 펼쳐지는 전쟁…이병헌과 유아인이 그려낸 '승부' [시네마천국]
  • “소리로 한번, 맛으로 두번 바삭”···뿌링클 잇는 히트템 bhc ‘콰삭킹’[맛보니]
  • 국산 AAA 타이틀의 가능성 보여준 소울라이크 게임 ‘퍼스트 버서커:카잔’ [딥인더게임]
  • 주말 어디 갈까…봄날 테마파크 콘텐츠도 풍성[주말엔]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47,000
    • -2.21%
    • 이더리움
    • 2,780,000
    • -2.04%
    • 비트코인 캐시
    • 454,400
    • -1.58%
    • 리플
    • 3,086
    • -6.46%
    • 솔라나
    • 187,000
    • -3.86%
    • 에이다
    • 1,000
    • -3.66%
    • 이오스
    • 822
    • -4.53%
    • 트론
    • 349
    • +1.75%
    • 스텔라루멘
    • 395
    • -2.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010
    • -3.03%
    • 체인링크
    • 20,460
    • -3.54%
    • 샌드박스
    • 408
    • -3.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