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주 중기부 장관 11억5300만 원 신고…2억 늘어 [재산공개]

입력 2025-03-27 0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성섭 차관, 마이너스 3500만 원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권 소상공인 금융지원 간담회에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권 소상공인 금융지원 간담회에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재산이 1년 사이 2억 원가량 늘었다. 김성섭 차관은 1여억 원의 채무를 갚아 마이너스(-) 3500여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2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오 장관의 재산은 9억5000만 원에서 11억5300만 원으로 2억200만 원가량 증가했다.

배우자와 공동 소유한 서울시 은평구 진관동 소재 아파트의 가액이 각각 2500만 원씩 5000만 원 늘었다. 또 오 장관과 배우자가 소유한 예금도 약 1억6500만 원 늘었으며 이 중 3000만 원을 대출금 일부 상환 및 차량 리스료를 갚는 데 썼다.

인사청문회 당시 이해충돌 가능성을 지적받은 배우자의 비상장 주식은 전량 매도했다.

김성섭 차관의 경우 -3500만 원으로 재산을 신고했다. 전년보다 1여억 원 채무가 줄었다. 김 차관은 배우자와 공동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에 가액 5억9100만 원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 이외 본인과 배우자 등 예금이 2200여만 원 증가했다.

중기부 공직자 재산공개 대상은 장·차관 외에 기획조정실장, 창업벤처혁신실장, 소상공인정책실장이다.

이 중 최고 자산가는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이다. 임 실장의 재산은 53억3400만 원으로 1년 사이 3억1000만 원가량 늘었다. 임 실장은 강남 대치동에 가액 17억8300만 원의 본인 소유 아파트와 7여억 원의 예금을 신고했다.

이어 최근 신용보증재단중앙회 회장으로 취임한 원영준 전 소상공인정책실장이 17여억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전년보다 2억7000여만 원 증가했다.

이대희 기획조정실장은 본인이 세종시에 소유한 아파트의 평가액 상승과 저축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2800여만 원 늘어난 4억1300만 원으로 재산을 신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MG손보 청산 기로에 소비자 불안…예금자보호한도 상향 해법 되나
  • 가상자산 거래소들, 법인 코인 거래 앞두고 영업 채비 ‘한창’
  • 오늘은 4월 1일 만우절, 유래는?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46,000
    • +0.01%
    • 이더리움
    • 2,720,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452,100
    • +1.19%
    • 리플
    • 3,113
    • -2.38%
    • 솔라나
    • 186,100
    • -0.05%
    • 에이다
    • 985
    • -0.3%
    • 이오스
    • 919
    • +3.61%
    • 트론
    • 356
    • +2.89%
    • 스텔라루멘
    • 394
    • -1.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880
    • -0.59%
    • 체인링크
    • 20,120
    • +0.65%
    • 샌드박스
    • 403
    • -0.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