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올투자증권은 27일 공매도 재개에 대해 "현시점에서 확실한 부분은 △공매도 재개 직후 유동성 개선 △대차잔고 증가가 나타난 종목에 대한 시장의 인식"이라고 밝혔다.
오는 31일 공매도가 재개되면 공매도 잔고가 평균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시장 변동성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다올투자증권에 따르면 과거 3번의 공매도 재개 직전 지수 단기 고점이 나타나는 패턴이 존재했다. 공매도 재개 직후 코스피는 평균 마이너스(-) 5.5% 조정받았다.
김지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 3번의 사례에서 공매도 재개 한 달 전부터 외국인 프로그램 매매가 증가하고, 거래대금 비중이 상승했다"고 했다.
관련 뉴스
이어 "지수 변동성 확대와 무관하게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와 함께 유동성 개선은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짚었다.
유동성 유입과 함께 대형주 강세도 기대되는 지점이다. 밸류에이션 상 현재와 유사한 2009년도에는 외국인 순매수가 코스닥 대비 코스피, 즉 대형주에서 더 강했다.
김 연구원은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개별주들의 수급 변동성 확대 이후 유동성 유입과 함께 대형주 강세를 기대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했다.
가격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방어적인 전략을 고려한다면 시총 순으로 반도체, 은행, 상사자본재 업종으로 대응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코스닥 시장의 경우 공매도의 대안이었던 개별주식선물이 상장되지 않은 기업이 많고, 실적 대비 고평가된 종목이 다수이므로 상대적으로 불리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