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규모 7.7’ 강진 사망자 최소 150명 이상으로 늘어

입력 2025-03-29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얀마 사망자 최소 144명·부상자도 730명 이상
군사정권, 이례적 지원 요청
태국서도 10명 넘게 사망·100명 이상 실종
USGS “지진 사망자 1만 명 넘을 가능성도”

▲태국 방콕에서 29일(현지시간) 구조대가 전날 일어난 미얀마 지진 영향으로 무너진 건물에서 인명 구조와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방콕/로이터연합뉴스
▲태국 방콕에서 29일(현지시간) 구조대가 전날 일어난 미얀마 지진 영향으로 무너진 건물에서 인명 구조와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방콕/로이터연합뉴스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 사망자가 최소 144명 이상으로 늘고 부상자도 최소 730명 이상이라고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이번 지진과 여진은 미얀마 중심을 강타한 것은 물론 이웃 나라인 중국과 베트남, 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태국 당국은 건설 중인 건물 붕괴로 최소 10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실종됐다고 밝혔다.

내전으로 정국이 혼란 상태를 지속 중인 가운데 강력한 지진마저 일어나면서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례적으로 국제사회의 지원을 호소했다.

미얀마 군사정권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날 국영 MRTV 심야 연설에서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일부 지역에서 건물이 무너져 구조 활동이 아직 진행 중이다. 사망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대규모 구조와 구호 활동에 도움을 요청하고 싶다”고 말했다.

미얀마 일부 지역에서 전기와 인터넷이 끊긴 가운데 흘라잉이 예상치 못하게 도움을 요청한 것은 이번 지진 피해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CNN은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번 지진은 끔찍하다”면서 “미국 정부가 미얀마 당국과 접촉하고 있으며 우리는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도 지원을 약속했으며 유엔은 초기 비상 지원금으로 500만 달러(약 73억 원)를 약속했다.

태국 방콕 건설현장 3곳에서는 10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했으며 101명이 실종됐다. 여기에는 건설 중이던 30층 건물이 무너진 사고도 포함됐다. 태국 증시와 선물거래소는 거래를 중단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만 명을 넘을 수 있다”며 ‘많은 사상자와 광범위한 피해’를 나타내는 ‘적색경보’를 발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740,000
    • +1.98%
    • 이더리움
    • 2,771,000
    • +2.59%
    • 비트코인 캐시
    • 463,900
    • +4.53%
    • 리플
    • 3,187
    • +2.84%
    • 솔라나
    • 189,500
    • +2.54%
    • 에이다
    • 1,003
    • +4.48%
    • 이오스
    • 1,013
    • +7.88%
    • 트론
    • 348
    • +0%
    • 스텔라루멘
    • 406
    • +2.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700
    • +3.09%
    • 체인링크
    • 20,780
    • +5.48%
    • 샌드박스
    • 409
    • +2.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