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GDP 2027년 0.6% 감소 전망
미국 2.5%·중국 0.9% 축소될 듯
한국ㆍ일본은 각각 0.5%↑, 0.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잇따라 내놓는 각종 관세 정책으로 2027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0.6% 감소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고 1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일 보도했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아시아경제연구소는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를 단행했거나 시행 예정인 상호관세, 수입차 관세, 대중국 20% 추가 관세 등에 대한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글로벌 GDP가 2027년 0.6%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닛케이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한 2027년 세계 GDP 127조 달러에 JETRO 분석을 단순 적용하면 7630억 달러(약 1100조 원)가 증발하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JETRO는 2027년 미국 GDP는 ‘트럼프 관세’가 없을 경우보다 2.5%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소는 “중국 등에서 수입하는 물품의 가격이 오르면서 중국산 부품에 의존하는 미국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하는 것이 주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또 미국 관세 폭탄의 집중포화를 받는 중국도 2027년에 GDP가 0.9% 줄 것으로 봤다.
관련 뉴스
눈길을 끄는 것은 한국과 일본이 오히려 트럼프 관세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연구소는 한국과 일본이 오히려 2027년에 GDP가 각각 0.5%, 0.2% 증가하는 긍정 효과를 누릴 것으로 점쳤다. 연구소는 “상호관세는 상대국의 관세율을 적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처럼 그 세율이 낮은 나라에는 영향이 적다”고 진단했다. 또 “미국이 중국에 고관세율을 적용하면 중국산 제품이 잘 팔리지 않게 되는 대신에 한국과 일본 제품은 미국 현지 판매가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전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2일 오후 3시(한국시간 3일 오전 4시)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트럼프와 측근들은 상호관세를 도입하면 미국 세수의 주축인 소득세를 관세로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트럼프의 측근인 피터 나바로 미국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지난달 30일 “향후 10년간 관세를 통해 약 6조 달러의 수입을 올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찬가지로 백악관은 ‘관세 인상은 감세다’라는 논리를 반복하고 있다.
닛케이는 “미국에서는 관세는 외국 기업에 부과하는 것이어서 국민의 주머니는 타격을 받지 않는다고 이해하는 유권자들도 있다”면서 “하지만 실제로 관세를 내는 것은 미국 내 사업자들이며, 가격 전가가 진행되면 결국 소비자가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