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지브리 스타일' 열풍을 몰고 온 오픈AI 챗GPT(챗지피티) 이미지 생성 모델 사용이 더 엄격해졌다.
2일 전후로 오픈AI의 GPT-4o 기반의 이미지 생성 기능 시스템(DALL·E)이 내부적으로 콘텐츠 정책 강화와 함께 사진 기반 이미지 생성 제한 기능이 훨씬 더 정교하고 엄격하게 적용됐다.
오픈AI 내부에서 달리 이미지 생성 모델의 안전 필터 업데이트를 거쳐 특히 업로드된 사진을 기반으로 재해석하거나 변형하려는 요청에 대해 기계가 더 민감하게 '실제 인물의 재현 여부'를 판단하게 됐다.
이에 사진과 관련된 콘텐츠 정책을 더 엄격히 집행해 챗GPT 자동 판단에 따라 아예 생성 자체가 거부되고 있다.
관련 뉴스
실제로 여러 요청에 "업로드된 사진을 기반으로 장면을 구성했다고 판단되어 자동으로 차단됐다"라는 메시지가 여럿 뜨고 있다.
이전처럼 "이 사진을 지브리풍으로 바꿔줘"라는 요청은 차단되고, 사진 속 모습을 글로 상세히 구성해 요청해야 한다. 아이 둘이 앉아서 서로를 바라보고 있는 사진이라면 "잔디 위에서 여자아이와 남자아이가 서로 어깨동무를 하고 서로를 바라보는 모습을 지브리풍으로 구성해줘"라고 요청해야 이전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디즈니풍, 지브리풍, 슬램덩크풍, 픽사풍 등 다른 화풍도 마찬가지다.
한편, GPT-4o 기반의 이미지 생성 기능은 25일 출시 직후 약 일주일간 일 평균 이미지 생성량은 약 4억2000만 장에서 5억6000만 장에 달하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에서도 SNS와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이 모두 챗GPT 이미지화 사진으로 교체되는 등 붐이 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