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0월 기준금리를 2% 현 수준으로 동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과연 올해까지 계속 유지할것인지 금융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성태 한은 총재가 조만간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며 강한 의지를 표명한 가운데 인상 시기를 놓고 엇갈린 의견을 내놓고 있기 때문.
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최대 관심사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올 10월까지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문제는 과연 10월 이후에는 어떤 카드를 쓸지 여부다.
이 총재 입장에서는 하루빨리 금리인상을 통해 과잉유동성과 최근 천정부지로 솟아오르고 있는 부동산 시장을 잡아야 한다는 부담이 작용하고 있다.
금융위기 과정에서 생긴 과잉유동성을 잡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버블로 이어지는 것은 자명한 일.
따라서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이 총재로서는 하루빨리 금리인상을 통해 버블을 막아야 한다는 부담이 작용됐다는 분석이다.
반면, 경기현황과 물가 등 국내 모든 분야를 총괄하는 정부와 기획재정부 입장에서는 섣부른 금리인상이 서민들의 물가상승 압력과 경기부양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만큼 출구전략과 금리인상은 좀 더 나중으로 미뤄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지난 달 이 총재의 금리인상 의지를 내비치면서 시장금리가 급등한데다 실물경기 회복세가 둔화하고 있고 있어 어찌되었든 금리인상 카드는 막아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더욱이 우리나라 경기현황을 알려주는 각종 경제지표가 상승추세로 전환하면서 한은 입장에서는 충분히 금리인상 카드를 꺼낼수 있지만, 정부와 기획재정부 눈치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모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올 11월부터 금리인상이 시작된다는 입장과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화 될 것이라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일단 시장은 기준금리 고유 권한을 가진 한은 쪽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정부와 기획재정부 입도 귀를 바짝 세우고 있다.
SK증권 한 애널리스트는 “금리정책에 대한 책임은 한은에 있는 만큼 (정부가 반대입장을 내놔도) 결코 무시할 수 없다”며 “한은의 입장이 명백한 만큼 올해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 관계자는 “한은이 올해 11월부터 12월까지 두 차례정도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며 “시장에서는 이미 한은 쪽에 무게를 더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KB투자증권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회복 지속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며 “한은이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은 계속 염두하고 있지만 실제로 단행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