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강세가 지속되면서 일본과 수출시장에서 우위를 점했던 우리나라 IT산업 부문에 적잖은 타격이 미칠 전망이다.
그 동안 엔화강세로 국내 IT업계에는 가격 경쟁력 저하로 날개가 꺾인 일본산을 시장에서 압도할 절호의 기회로 삼았었다.
실제로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엔화 가치는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세계 시장에서 일본 업체의 가격 경쟁력이 나빠지자 국내 IT업계는 완제품 업체는 물론 부품 업체까지 고루 수혜를 봤다.
관련업계 한 관계자는 “한ㆍ일 경합품목 중에는 컴퓨터부품과 디지털반도체, TV부품 등 한국의 주력 수출상품이 상당수 포함돼 있어 일본 정부의 개입으로 엔화가 약세로 돌아설 경우 일본과 경쟁하는 국내 IT업계의 입지가 좁아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특히 IT 완제품과 산업 부품을 수출하는 업체의 경우 미국과 유럽 등에서 일본 제품과 경합하는 제품이 많아 엔저 효과가 가격경쟁력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일본 엔화 가치의 최근 고공행진이 국내 IT업계에 반사적 이익을 가져다주는 ‘엔고효과’를 체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흔히 IT 기업들이 혜택을 본다고 하지만 국내 IT 기업 수준이 일본기업들과는 큰 격차를 벌리며 앞서기 때문에 경쟁관계에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이유다.
한편, 일본 정부의 환율 방어 조치가 국내 게임사들에게 미칠 영향은 미미할 전망이다. 현재 거의 모든 게임이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한국은 온라인 게임 수출강국이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올해 게임산업의 해외 수출 규모가 15억 달러를 육박하는 반면 수입규모는 4억달러 전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11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수지 흑자가 예상된다.
하지만 일본 시장은 콘솔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온라인 게임의 강국인 국내 게임사들에게 미칠 영향은 미미하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또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정액 요금제를 올리면 유저들의 반발이 있고 시스템상 아이템 가격을 올리기에 부담이 따르기에 환율로 큰 이득이나 손해를 볼 것이 없다는 것.
일본에 게임을 수출하는 한 게임업계 관계자는 “일본만 엔화로 받고 나머지는 게임 로열티를 달러로 받기 때문에 오히려 달러화로 인한 영향이 더 크다”며 “일본은 온라인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10%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게임 산업만 보면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