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영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기업의 필수요소가 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와 자연재해의 급증은 그린경영의 필요성을 거론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러시아에서는 지난 여름 모스크바 기온이 사상 처음 37.8℃에 달하는 등 역사상 최악의 폭염이 닥치고 가뭄으로 인해 밀 수출을 금지하는 등 자연재해로 인한 비상이 걸렸다.
중국은 서남부 지방이 지난 봄 사상 최대의 가뭄에 시달리고 여름에는 간쑤성을 중심으로 수십 년 만에 최악의 홍수가 발생하고 파키스탄도 대홍수로 140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환경재앙이 더욱 본격화되고 있다.
각국 정부는 환경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한무역진흥공사(KOTRA)는 지난 3월 한 보고서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전세계적 관심이 고조되고 관련 규제 확산이 우려된다”고 언급했다.
유럽연합(EU)은 내년부터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기준인 유로5(Euro5)를 전면 의무화하고 오는 2014년에는 이보다 더 강화된 기준인 유로-6(Euro-6)를 시행한다.
유로5는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의 배출기준을 경유차는 km당 180mg 이하, 휘발유차는 60mg 이하로 각각 제한하는 것이고 유로6는 경유차 배출기준이 80mg으로 대폭 강화된다.
상대적으로 환경규제에 소홀했던 미국도 지난해 캘리포니아 주에서 절전형 TV 의무화를 최초로 입법화하고 유독물질법 개정 논의를 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려 하고 있다.
세계 최대 에너지 소비국이자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은 환경오염물질 배출이 심한 낡은 공장 2087개에 대해 폐쇄명령을 내리고 국내총생산(GDP)에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인 에너지원단위를 올해 20% 감축하기로 하는 등 적극적인 환경규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환경보호 이외에 에너지 생산비용의 감축과 새로운 수요 창출, 일자리 늘리기 등 경제적 측면에서 그린경영은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청정에너지산업은 생산규모를 확대하면 할수록 생산비 절감과 수익성 향상으로 직결된다.
각국 정부는 환경보호 효과뿐 아니라 고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의 측면에서 그린경영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대선 당시 공약에서 “향후 10년간 청정에너지산업에 1500억달러(약 169조5000억원)를 투자하고 오는 2025년까지 미 전체 전력의 25%를 태양광과 풍력 등 청정에너지가 차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린산업에서 앞으로 총 700만개에 달하는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제1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서도 신재생에너지와 신에너지자동차, 에너지 절약기술 등 그린산업이 정부의 전략적 집중산업으로 지정됐다.
전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규모는 지난해 1620억달러로 메모리반도체(425억달러)와 디스플레이(885억달러)를 능가했고 10년 후에는 현재 전세계 자동차 시장규모인 1조1600억달러에 육박하는 1조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지난 2005년 전세계 탄소배출권 시장규모는 110억달러에 불과했지만 세계은행(WB)은 올해는 1500억달러, 2012년에는 20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