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레인의 반정부 시위가 수니·시아파 간 종파 갈등으로 확산되자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변국이 적극 개입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14일(현지시간) 바레인 보안당국의 시위 진압을 지원하기 위해 군 병력을 파견했다.
지원 규모는 1000여 명의 병력과 함께 무장차량 150대, 구급차와 지프 등 군용차량 50대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 정부는 이번 군 병력 투입이 바레인 정부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사우디의 한 관리는 걸프협력협의회(GCC)의 정관에 '회원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행위는 GCC 회원국 전체의 안보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고 명시돼 있다"면서 군 파견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GCC는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 등 6개국으로 구성됐다.
그러나 이번 사우디의 군 병력 지원은 양국 간 우호 친선관계의 산물이라기보다는 바레인의 시위 여파가 사우디에까지 미치는 것을 사전 차단하겠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바레인의 시위는 수니파인 알-칼리파 가문의 권력 독점에 불만을 품고 있는 시아파가 주도하고 있다.
바레인은 전체 인구 75만명(외국인 노동자 포함시 130만명)의 70%가 시아파지만 수니파인 알-칼리파 가문이 200년 가까이 권력을 장악하고 있어 시아파의 불만이 높은 상태다.
사우디의 군 파견에 대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토미 비터 대변인은 "사우디의 군 파견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면서 "우리는 GCC 국가들이 바레인 국민들의 권리를 존중하고 자제심을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UAE도 바레인 시위 진압을 위해 경찰 500명을 파견했다.
셰이크 압둘라 빈 자예드 알-나하얀 UAE 외무장관은 바레인 정부가 시위로 인한 긴장을 해소할 방안을 찾기 위해 먼저 경찰 파견을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바레인 시위에 대한 외국군의 진압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이란도 가세했다.
알리 아크바르 살레히 이란 외무장관은 "바레인 당국이 자국민에 대한 폭력과 물리력을 동원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면서 "이란은 바레인 정부가 시위대의 요구에 응하고 그들의 권리를 존중하며 현명하게 대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사우디의 우방국인 바레인은 이란과는 각종 정책이나 외교관계에서 적당한 수준의 거리를 두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