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에 공멸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함에 따라 건설용 수요가 급감한 탓이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동양시멘트, 쌍용양회, 한일시멘트, 이세아시멘트, 성신양회 등 시멘트업계 주요 5개사들은 지난해 1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에 비해 2500억원 이상 이익이 줄면서 대부분 적자로 전환한 것이다.
문제는 건설경기가 살아나지 않아 공급 과잉 상태가 지속되면서 시멘트업체들간 가격 인하 경쟁이 가열된 결과다. 여기에 원료인 유연탄 가격은 급등하면서 수지는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실제로 건설경기의 직·간접 영향권에 들어가는 시멘트산업은 지난 2008년 이후 민간주택공사가 위축되고, 공공부문 공사 발주도 줄면서 시멘트 출하량도 줄었다.
시멘트 출하량이 줄자 공급처를 확보하기 위해 시멘트회사들은 덤핑에 가까운 가격경쟁전을 벌이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가격 경쟁이 시멘트 유통시장을 왜곡하고, 레미콘회사와 건설사 등 수요자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시멘트업체들은 사업부문을 조정하거나, 경영합리화를 강조하는 등 새로운 생존 대비책을 구상 중이지만 업계의 근본적인 구조를 개선하지 않고는 공멸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시멘트업계는 지난 90년대 초 건설경기 붐이 일자 막대한 자금을 들여 투자에 나섰다. 80년대 말 정부 주도로 주택 200만호 건설 등 시멘트 수요가 급증하자 시멘트 업체들은 시설확대 등에 집중 투자해 생산능력을 6200만톤 수준까지 대폭 늘렸다.
1997년 당시 출하량은 6175만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1년 현재 출하량은 최고치의 6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여기에 영업실적 악화와 재고 누적에 따른 비용 증가, 유연탄 가격의 급등 등 3중고를 겪고 있다.
그러나 초기 투자비용과 생산에 드는 고정비용이 커서 주력 업종 전환을 하기 쉽지 않은 장치산업이라는 점에서 업종 전환도 쉽지 않다.
더욱이 업계 자율적으로 물량 조절이나 가격 정책을 마련할 수 없다는 점이다. 자칫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담합’으로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멘트 업계에서는 정부가 나서 인위적인 구조조정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