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피해를 입은 물류전문기업들의 대다수가 뚜렷한 대책이 없는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기업들의 90% 이상이 도쿄와 요코하마 등 관동지역에 지사와 법인을 두고 있어 이번 재해로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화물 연착이나 물동량 감소등의 간접피해를 받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4일 최근 일본과 거래중인 국내 110개 물류전문기업을 대상으로‘동일본 지진에 따른 수출입물류 환경변화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69.1%의 기업이 ‘직접적 피해는 없었다’고 응답했지만 ‘컨테이너 유실’(4.5%), ‘건물파괴’(1.8%) 등의 직접 피해를 입었다는 기업과‘화물연착’(11.8%), ‘물량감소’(6.3%), ‘사무기기 파손’(0.9%) 등의 간접 피해를 입었다는 사례도 있었다.
이번 재해로 설문에 응한 기업의 65.5%는 향후 동북아 물류환경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것이라고 예상했으며 특히‘대일 수출입 물동량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47.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육운, 해운, 항공 등 고객화물 연착’(33.6%) 우려도 큰 비중으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렇다 할 대책을 가진 기업은 많지 않았다.‘향후 빚어질 물류차질에 대한 대책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은 기업의 78.2%가 ‘없다’고 했으며 나머지 기업들은 ‘화주와 협의해 입항가능한 항만으로 물량이전’, ‘부산항으로 회항’, ‘철수를 고려중’, ‘보험처리’ 등을 준비하는 단계라고 밝혔다.
대한상의측은 “과거 한신대지진 후 고베항 물동량이 대거 부산으로 이전되어 부산항이 동북아 허브항만으로 성장한 계기가 되었다”라면서 “향후 피해 지역의 항만복구와 나리타공항의 화물적체가 장기화 되면 동북아 수출입물류환경이 크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 기업들의 대부분은 이번 동일본 대지진 피해가 1년 내에 정상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일본 수출입물류 정상화 소요기간으로 ‘1년미만이 될 것으로 본다’는 응답이 64.6%에 달했고 1~3년이 걸릴것이라는 예측도 29.1%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