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수도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침수피해를 앞으로는 하수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 시뮬레이션은 수리모델링 프로그램으로 강우량에 따른 하수 유입 유출을 사전에 계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환경부는 4일 침수대응 이 같은 내용의 하수도 시뮬레이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특정지역을 설정, 강우량 단계별로 피해 발생 여부를 파악한다. 일정 강우량 이상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면 다시 관거 확대 등 단계별 대응책을 시뮬레이션 상에서 시도하고 침수 여부를 재확인한다.
이를 통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실제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강우량 수준을 알게 되고 필요한 경우 환경부에 하수도 정비를 위한 국고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은 토목·설계회사 등에서 보유 중인 수리 모델링 프로그램을 활용하는데, 해당 지자체에게 이들 회사에 용역을 맡기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 관계자는 “정확한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정부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보급이 이뤄진다면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일고 있는 침수피해 예방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