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종과는 달리 정부 정책의 수혜를 받고 있는 바이오업계가 다수의 협회 간의 미묘한 신경전으로 들썩이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가 식품의약품안전청 산하 첫 바이오 관련 단체로 출범하면서 기존 관련 협회들과의 보이지 않은 주도권 경쟁이 가시화되고 있다. 그동안 바이오업계에서는 지식경제부 산하의 한국바이오협회와 제약협회의 바이오의약품 본부가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여기에 바이오의약품협회가 가세하면서 삼파전에 돌입한 셈이다.
바이오의약품협회는 지난달 21일 창립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하며 공식 활동에 들어갔다. 출범과 동시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과 연구개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역할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김명현 회장은 심포지엄에서 “바이오의약품의 인허가 제도 개선 노력과 해외 바이오의약품 관련정보의 신속한 제공, 체계적이고 수준높은 교육 및 연수를 통해 국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도록 할 것”이라며 강한 출범 각오를 다졌다.
특히 LG, SK, 삼성 등 대기업과 셀트리온, 메디포스트 등 주요 바이오 기업이 바이오의약품협회에 모두 참여함에 따라 업계 대표 단체로 크게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 LG생명과학, 차바이오앤디오스텍, 메디포스트, 셀트리온, 휴젤, 바이로메드, CJ제일제당, SK케미칼 등 굵직한 제약사가 임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기존 한국바이오협회가 지식경제부 산하에 있어 기능과 활동범위에 다소 제약이 있었던 점도 바이오의약품협회에 업계가 기대를 거는 이유다. 한 회원사 관계자는 “지식경제부는 정부의 바이오업종 육성 정책에 주력할 뿐 바이오의약품의 인허가 등에 직접적인 관계가 없어 업계의 의견을 대변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기존 협회들은 일단 견제하는 모습이다. 최근 제약협회가 ‘준회원제’를 도입해 바이오벤처, 임상시험수탁기관(CRO) 등 바이오 기업 모집에 나서며 논란이 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제약협회는 ‘신약 개발에 관심 있는 법인’가입을 표면적인 준회원제 신설 이유로 내세웠다. 그러나 결국 회원사를 뺏기지 않기 위한 꼼수가 아니냐는 비난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