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4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의 울란우데에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특별열차 편으로 귀국길에 오르면서 그 행로가 주목된다.
특히 김 위원장의 특별열차가 중국을 경유할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동진하는 특별열차가 자바이칼스크주 카림스캬역을 거쳐 가야 행로가 분명해질 전망이다. 카림스캬역에서 남행하면 만주횡단철도(TMR)로 진입해 중국 네이멍구 만주리로 향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계속 동진하면 러시아 방문길의 역주행 코스를 밟을 전망이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특별열차가 카림스캬역에 도착해 통과할 25일 아침이 돼야 김 위원장 행로의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특별열차가 중국을 경유해 귀국한다면 계속 동진해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가는 귀로와 비교할 때 1천500㎞가량을 단축할 수 있어 그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미 1년새 3차례나 중국을 방문한 김 위원장이 이번에는 중국 수뇌부와 접촉하지 않고 귀로 단축을 위해 단순 경유할 가능성이 있다고 일각에서는 보고 있다.
단순 경유라 하더라도 중국은 최소한의 의전을 갖출 것으로 관측된다. 공산당 대외연락부와 철도부 소속의 고위급 간부를 보내 만주리에서 김 위원장을 영접하고 안내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추정했다.
김 위원장이 중국에 진입할 경우 내친 김에 중국 수뇌부와 회동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현재로선 김 위원장이 중국을 경유할 가능성과 계속 동진해 블라디보스토크로 갈 가능성이 비등한 상태”라며 “김 위원장이 계속 동진한다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와 회담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