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물가 상승률이 5%대에 다가서며 서울을 포함한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최근의 지방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지방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4.9%로 전국 평균인 4.7%보다 0.2%포인트 높았다.
지방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1~2분기에도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1분기에는 4.6%로 전국 평균인 4.3%보다 0.3%포인트 높았다. 2분기 역시 4.4%를 기록 전국 평균(4.2%)을 상회했다.
지방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은 데는 농축산물과 공산품 등 상품가격이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농축산물 가격은 기상악화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7월 전년 동기 대비 11% 올랐다. 공업제품은 가공식품과 석유류를 중심으로 6.4% 상승했다.
또 지방 소비자물가는 가중치 중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서울보다 높은 점도 가파른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 2005년 개편한 물가지수는 1000을 기준으로 서울의 상품 비중은 350이고 지방은 420이다. 나머지는 서비스 부문이다. 지방이 상품가격 상승에 더욱 민감한 구조인 것이다.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값도 오름세를 지속했다. 주택매매가격은 지난 7월 전월 대비 0.5% 올랐고 2분기에는 전기 대비 2.5% 상승했다. 전세값은 같은 기간 각각 0.8%, 3.0% 오르며 예년 수준을 웃돌았다.
반면 서울의 주택매매가격은 7월 전달 대비 0.2% 내렸고 2분기에는 변동이 없어 지방 상승률은 크게 밑돌았다. 전셋값은 7월 0.8% 오르며 지방과 같았지만 2분기에는 전기 대비 1.5% 오르며 지방 상승률보다 작았다.
한은 관계자는 “세종시, 부산-거제간 도로 확충 등 지방 개발은 많지만 분양 물량은 2009년부터 줄어서 지방의 주택거래 가격 상승폭이 서울보다 높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