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18대 국회 초선의 반성

입력 2011-11-1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진애 “정부견제 0점… 민주, 야성 강화해야”

▲김진애 민주당 의원
18대 국회를 되돌아보는 여야 초선의원 릴레이 인터뷰 일곱 번째는 김진애 민주당 의원이다. 김 의원은 2009년 말 비례대표직을 승계 받아 국회에 입성, 한나라당 ‘저격수’로 활약했다. 그는 11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18대 국회는 정부 견제에 있어 0점”이라며 “민주당은 야성(野性)을 더 가져야 한다”고 자성을 촉구했다.

- 18대 국회를 돌아보면.

▲ 정부 견제에 있어 0점이다. 4대강 사업만 해도 공청회 한 번 못했다. 여당은 거수기로 전락하고 청와대는 국회를 마치 관선 이사회식으로 생각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하고 싶은 것만 했지, 국민을 위해 한 게 뭐 있나.

- 앞서 야당 의원들은 무력감을 털어놓기도 했다.

▲ 의원으로서 뭐든지 할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수적 열세로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야당 의원들도 패배주의 때문에 더 공격적이 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흐름을 같이 만들어갈 수 있는 분들도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 초선들이 더 역할을 할 순 없었나.

▲ 권위주의, 관료주의 속성이 남아있는 국회에서 초선은 의욕이 많아도 목소리를 내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나는 싸우는 게 중요하지 져도 상관없다고 생각하지만 재선 이상이나 관료 출신들은 행위의 의미보다 결과를 중시하더라. 엉덩이가 무거워 기동성이 적고, 변화의 민심을 읽는 감성이 좀 떨어지고. 그 가운데서 뜻이 잘 맞던 최문순 전 의원이 떠나 외롭기도 했다.

- 당이 반성할 부분은.

▲ 의원들의 연령대도 높고 관료 출신도 많아서인지 당에 국민의 기대만큼 야성이 없다.

또 어젠다 세팅을 못했다. 한미FTA만 해도 10+2 등 이슈제기는 잘했지만 여론화시키는 작업, 압력 행사하는 방법 등에 있어 미진했고 소통방식도 ‘올드보이’식이었다.

당내 인사도 반성해야 한다. 적재적소, 적시에 맞지 않아도 무조건 자기 계파 사람을 앉히려고 하더라. 그런 점이 우리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

- 19대 국회에 바라는 바는.

▲ 여야 구성의 균형이 잡혀야 한다. 관료적·권위주의적인 사람보다는 정책적인 내공이 있고 국민과의 소통에 능한 이들이 많이 들어왔으면 좋겠다. 대승적인 목적을 위해 조직적으로 일하는 이들이 와서 팀워크가 잘 되는 국회가 됐으면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트럼프, 관세 시간표 앞당기고 목재도 추가…“전략비축유 빨리 채울 것”
  • 국정 1·2인자 대면 무산…韓 “국무회의, 흠결 있지만 판단은 사법부가 해야”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99,000
    • +0.72%
    • 이더리움
    • 4,057,000
    • -0.07%
    • 비트코인 캐시
    • 478,300
    • +0.15%
    • 리플
    • 4,000
    • +4.49%
    • 솔라나
    • 255,600
    • +0.99%
    • 에이다
    • 1,167
    • +2.73%
    • 이오스
    • 950
    • +3.04%
    • 트론
    • 355
    • -2.2%
    • 스텔라루멘
    • 508
    • +2.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50
    • +0.18%
    • 체인링크
    • 26,870
    • +0.07%
    • 샌드박스
    • 547
    • +1.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