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무역수지가 24개월만에 적자로 돌아섰으나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적자가 일시적인 현상인 것으로 진단했다. 1월 적자를 두고 추세적인 변화로 속단하기는 이르며 이르면 내달 또는 2분기부터 점차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1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1월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수출은 415억3700만달러로 작년 동월에 비해 6.6% 감소했다. 수출이 감소한 것은 지난 2009년10월 이래 27개월만이다. 반면 수입은 434억9400만달러로 작년 동월 대비 3.6% 증가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19억5700만달러 적자로 전환했다.
임동민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무역적자는 일시적인 것으로 2월 무역수지는 바로 흑자전환 할 것"이라며 "1월은 설 연휴 등의 계절적인 요인으로 간간히 무역적자가 나곤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년간 우리나라의 1월 무역수지는 2008년 40억달러, 2009년 38억달러, 2010년 8억달러 적자를 기록하다가 2011년에만 예외적으로 고가의 선박 인도 등 조선분야 수출호조에 힘입어 25억달러 흑자를 냈다.
임 연구원은 "미국의 더딘 경기회복 속도와 특히 유럽이슈가 무역적자에 큰 영향을 미쳤고 12월까지 지속된 원화 약세로 수입물가가 상승한 것도 무역적자의 하나의 원인"이라며 "올해 1월 무역적자는 복합적 요인의 결과지만 추세적인 것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유럽중앙은행이 실시하고 있는 장기대출(LTRO)로 실물경제에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며 "중국의 경기회복 속도가 미진하지만 중국은 내수부양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에도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성권 신한금융투자 상무도 "이번 적자가 경쟁력 악화나 근본적인 시장을 잃어서 발생한 것은 아니며, 설 연휴로 인해 수출일수가 부족했고 계속되는 유로존 위기와 유가급등 등이 이번 적자의 주원인"이라며 "최근 미국경제의 지표가 되살아나고 있고 중국도 긴축기조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무역흑자 기조가 훼손될 것이라고 보이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김종수 NH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수출 경기의 경우 선진국의 수요 부진으로 모멘텀이 둔화되고 있으나, 신흥국 수요 회복 지속으로 여전히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유로 재정위기 등 해외여건의 불안요인이 제한될 경우 수출 증가 및 내수 회복 지속, 기저효과 완화 등으로 2분기부터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